"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논의는 단순히 금융 차원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는 플랫폼 전쟁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국내에서 쌓아온 성공 경험을 글로벌 무대에서 이어갈 수 있느냐의 문제이며, 구글·JP모건·서클·테더 등 해외 기업과의 정면 대결이기도 합니다"
강형구 한양대 교수는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디지털자산과 스테이블코인 정책 어떻게 추진해야 하나? : 민생경제와 혁신성장 포럼'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강현구 교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원화와 달러의 대결이 아니다. 한국 플랫폼 기업과 미국 플랫폼 기업 간의 경쟁"이라며 "이 시장을 금융정책의 틀로만 볼 것이 아니라 국가적 플랫폼 경쟁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특히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외환보유고와 금융안정에 미칠 영향을 경계하면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오히려 통제와 관리가 용이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혁신의 중심에 서 있는 스테이블코인을 은행만 발행하도록 제한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은행과 비은행이 함께 경쟁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혁신과 안정이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지연하는 반대 논리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스테이블코인이 원화 국제화나 자본자유화로 직결된다는 주장은 과장이라는 설명이다. 강 교수는 "제대로 설계된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안정성을 높이고, 위기 상황에서도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과 스마트계약을 통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대로 설계하면 예금자보호 한도를 넘어서는 대규모 자금을 정부 보증 자산으로 직접 이전시켜 금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 "코인런 우려 역시 국채와 현금 상환 구조로 차익거래자가 흡수할 수 있어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부연했다.
강 교수는 무엇보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을 미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장 혁신적인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서 은행만 발행 주체로 한정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은행과 빅테크 모두 경쟁할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 네이버와 카카오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면 연 8~9000억원 규모의 추가 수익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소상공인과 이용자들에게도 혜택으로 돌아간다"며 "기술·제도·감독을 결합한 보수적 설계로 조속히 실행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포럼을 주최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전 세계 금융시장에 거대한 쓰나미로 다가오고 있다. 지금은 전세계 결제시장을 석권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통해 우리 후손들이 먹고 살 엄청난 먹거리가 창출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게임스컴 25] '검은신화 오공' 후속작은 '종규'...'파판 X 몬헌' 콜라보에 '월탱' 후속작도 공개
- KT 제1노조 "제2노조, 허위사실 유포 및 정치적 이익 노린 발목잡기"
- [게임스컴 25] 입장 위해 100m 대기열은 기본...사진으로 본 게임스컴 개막 풍경
- [FSL 통신] "이변은 없었다"...'호석'-'원', 공격력 앞세워 승자전 합류
- [게임스컴 25]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결국 살아남는 것은 IP...'버밍엄'은 글로벌 IP로 도약할 것"
- [게임스컴 25] "좀비 익스트랙션 미드나잇워커스 통했다...글로벌 게임 팬 홀린 비결은?"
- [게임스컴 25] 넷마블, 미공개 신작 크래프팅 장르 '블룸워커' 공개..."움직이는 집과 함께 오염 지역 정화"
- [게임스컴 25] 머리 위에서 바라본 은폐·엄폐의 정석...배그 계보잇는 '블라인드스팟'
- [게임스컴 25] 해외 미디어가 크래프톤에 응답했다...소통 강조한 '블라인드스팟'·'인조이'
- [게임스컴 25] 양승명 블라인드스팟 PD "해외 게이머의 '재미' 경험, 게임 개발의 원동력이죠"
- 업비트, 신규 광고 캠페인 "시대는 이미 업비트" 공개
- 중국,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띄운다…美 디지털 달러 패권에 도전장
- 신세계I&C, 청소년 3900명 대상 AI 인재 양성 교육
- "AI가 답변부터 상세 요약까지" 네이버-카카오가 바꾼 지도 활용법
- 최태원 SK 회장 "AI 갖고 놀 수준 돼야 '혁신·성공' 가능…SKMS, 사회로 확산"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7월 FOMC 회의록 공개 후 반등...이더리움도 600만원선 복귀
- 韓 시중은행 이어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찾은 서클 CEO...USDC 국내 사용처 늘어날까
- 삼성전자, 'AI=삼성'…'보이스피싱 차단·가전 원격진단' AI 도입
- 스마트시계도 위성통신…퀄컴 '스냅드래곤W5 2세대' 선봬
- 매장도 전시관도 '경쟁력'…LG전자·SKT, 고객 시선 잡기 '잰걸음'
- 마브렉스, 웹3 퍼블리싱 본격화...'메타 토이 드래곤즈' 예약자 50만 넘었다
- 통신사, 하반기 경쟁 '점화'…SKT '생활밀착' vs KT '콘텐츠'
- 통신분쟁조정위 "SKT 해킹 사고 위약금 면제, 연말까지 연장해야"
- [김세진의 테크노믹스] 원화 스테이블코인 논쟁이 놓치고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