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X는 신한은행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 목적은 신한은행 전 직원이 AI를 활용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구현해 조직 전반에 걸쳐 일하는 방식을 AI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SK AX는 플랫폼을 구축해 보고서 작성, 고객 데이터 분석, 내부 의사결정 지원 등 다양한 업무에서 생성형 AI가 실질적인 도구로 자리잡도록 지원한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SK텔레콤과 공동 개발한 기업용 AI 플랫폼 '에이닷엑스(A.X) 플랫폼' 도입이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사전 구축 AI 모델을 업무 목적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는 '파인튜닝' 기능과 별도 개발 지식 없이 AI 기능을 블록처럼 조립해 직접 서비스로 완성할 수 있는 '노코드 빌더'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신한은행 직원은 본인 업무에 맞는 AI를 만들고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행 환경을 갖추게 된다.
SK AX는 에이닷엑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AI 생성부터 실행, 관리까지 전 과정을 통합한 'AI 올인원 포탈'을 구축한다. 직원은 포탈 내에서 필요한 AI 기능을 검색해 즉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 업무 유형별로 정리된 AI 자산을 설정 없이 재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 확장이 가능하다.
AI 품질 개선도 자동화한다. SK AX는 AI 생성, 운영, 피드백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클로즈드 루프' 구조를 통해 사용자 결과 및 피드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델 성능을 지속 개선한다.
또 AI 실행 인프라도 고도화한다. GPU 가상화 기술을 적용해 고성능 자원을 여러 사용자와 서비스가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양한 AI 서비스가 원활하게 운영되는 고성능 환경을 마련했다.
보안 체계도 금융권 기준에 맞췄다. ▲단계별 보안 파이프라인 ▲민감정보 마스킹 처리 ▲사용자 권한별 접근 제어 ▲감사 로그 관리 등 고도화된 보안 기능을 플랫폼 전반에 적용한다.
김남식 SK AX 금융사업본부장은 "이번 사업은 금융 조직 전체에서 일하는 방식을 AI 중심으로 재설계하는 금융 AX 출발점"이라며 "앞으로 AI 브랜치 고도화, AI 에이전트 등 금융권 특성에 맞는 AI 기술을 제공해 실제 업무 현장에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대형마트 폐점 늘어나는데...나홀로 성장하는 트레이더스
-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요건 명확화...'디지털자산 혁신법' 나왔다
- [글로벌] MS, 미국 정부에 AI 코파일럿 1년 무료 제공...기관 AI 보급 전쟁 시작됐다
- 임우형 LG AI연구원장 "엑사원 기반 생태계 확장 관심...다양한 구성원 참여 필요"
- [글로벌] TSMC, VEU 특혜 종료...난징 공장 차질 없나
- [글로벌] 구글, 기업 분할 피했다...AI가 판결 바꿨다
- '휴먼 에러' 없는 자율생산공정 가능할까...현대오토에버 'SD 브레인'의 도전
- 넷마블, 3분기 신작 강자로 '우뚝'...'킹오파 AFK' 글로벌 띄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