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과 파트너십 확대 약속도
한국 내 데이터센터 운영은 부정적
"데이터 해외 반출은 기술적 필수 요구 사항" 주장
구글이 국내 지도 데이터 반출 요청에 대해 제기된 안보 및 데이터 주권 침해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한국에 한해 좌표 정보를 제거하고 국내 공간정보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크리스 터너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문 부사장은 9일 서울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이벤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그간 제기되어 왔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을 지속하는 한편, 티맵모빌리티 등 국내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강화할 것"이라며 "위성 이미지 속 보안 시설을 가림 처리하는 것에 더해 한국 영역의 좌표 정보를 구글 지도의 국내외 이용자들 모두에게 보이지 않도록 조치하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겠다"라고 말했다.
구글은 지난 2007년과 2016년에 이어 올해도 정부에 5000:1 축적의 지도 데이터 반출을 요청했다. 지난 두 번의 요청은 안보상의 이유로 데이터 국외 이전이 불가하다는 정부 결정으로 인해 반려됐다. 현재 구글은 티맵모빌리티를 통해 제공 받은 데이터를 지도 서비스에 적용하기 있다.
구글 측은 한국을 찾는 관광객들이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길찾기(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5000 축적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국 정부는 국내 데이터센터를 통한 처리를 요구하고 있지만, 글로벌 20억명의 이용자를 둔 지도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선 글로벌 데이터센터를 통한 분산 처리가 불가피하다는 게 구글 측의 주장이다. 데이터센터를 국내에 두는 건 불가능하지만, 정부 요청에 대응하기 위해 별도 책임자를 두고 적시에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터너 부사장은 "지도 해외 반출은 순전히 기술적 필요성에 기인한다"며 "해외 사용자를 비롯해 동시에 수백만명의 요청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선 분산된 데이터센터를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글 측은 데이터 해외 반출을 제외한 부분에선 한국 정부의 요구를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제시한 좌표 제외와 국내 공간정보 산업과의 파트너십 강화도 이에 대한 일환이라는 설명이다.
터너 부사장은 "지도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언어인 좌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건 의미있는 진전"이라며 "한국 정부와의 지속적 협력과 추가적 약속을 통해 전 세계 이용자들이 손쉽게 대한민국을 둘러보고 여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의 법과 규제는 철저히 준수할 것"이라며 "이번에 승인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UDC 2025] "쉽고 가까운 웹3 인프라 꿈꿔요"...'기와' 통해 블록체인 서비스 여는 두나무
- [UDC 2025] 확 달라진 두나무...데뷔전 치른 오경석 CEO, 美 에릭 트럼프 이끈 윤선주 '눈길'
- [UDC 2025] 각종 게임 참여하면 경품이 펑펑...박수·환호 끊이지 않은 이벤트 부스
- 방통위 "아이폰17 관련 허위 기만 광고 주의하세요"
- [UDC 2025] "명품 시계로 토큰화 꿈꾼다"...웹3 생태계 여는 '바이버'
- 엔씨 TL, 한국·대만 등 아시아 권역으로 스팀 글로벌 서비스 확장
- [UDC 2025] 두나무 기업가치 1년새 3배…토종 블록체인 '기와' 올려 美 코인베이스 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