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지능 AI 스타트업 트릴리온랩스는 국내 처음으로 700억(70B) 파라미터 규모의 대규모 언어모델(LLM) '트리(Tri)-70B'를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모델은 현재까지 한국에서 프롬 스크래치로 개발된 가장 큰 언어모델로 꼽힌다. 사후학습이 최소화된 베이스모델 형태로 공개돼 연구자와 기업들이 손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어 학계 및 산업계 모두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트릴리온랩스는 70B 모델 공개와 함께 '오픈소스 먼스'를 선언하고, 0.5B, 1.8B, 7B, 70B 전 라인업을 Apache 2.0 라이선스로 공개했다. 이를 통해 트릴리온랩스의 언어모델 라인업을 연구 목적은 물론 상업적 활용까지 가장 개방된 형태로 제공한다. 특히 단순한 결과물 공유를 넘어 연구와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을 제공한다.
아울러 트릴리온랩스는 이번 오픈소스 먼스에서 매주 최종 모델뿐 아니라 학습 도중 생성된 중간 체크포인트까지 전면 공개한다. 이를 통해 학계 및 산업계는 대규모 모델의 학습 과정을 세밀하게 연구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재학습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실 이같은 시도는 글로벌 차원에서도 매우 드문 사례로 꼽힌다. 지금까지는 비영리기관인 앨런연구소나 허깅페이스 정도만 제한적으로 해왔으며 트릴리온랩스가 전 세계 세 번째 이자 한국에서는 처음이다. 트릴리온랩스는 세계적으로도 손에 꼽히는 규모의 연구 공개를 통해 학습 전 과정의 투명성과 재현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연구 표준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신재민 트릴리온랩스 대표는 "우리는 단순히 언어 모델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훈련 과정과 핵심 기법까지 모두 공개해 연구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한국은 물론 글로벌 AI 연구 생태계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며 "이번 공개는 한국에서 처음 시도되는 의미 있는 도전으로, 국내 AI 기업들이 기술적 우수성과 개방적 연구 문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UDC 2025] "게 섯거라 코인베이스" 韓 성장 동력 심는 두나무, 웹3 기와집 짓는다(종합)
- [UDC 2025] 양자 컴퓨터 등장시 블록체인 위험설..."사실상 공격 불가능"
- [UDC 2025] 글로벌 웹3 정책 전문가들 "각국 코인 규제, 더욱 성숙해질 것"
- 배경훈 장관 "GPU 20만장 확보 도전...글로벌 톱 AI 모델 만들어야"
- [UDC 2025] 볼거리-즐길거리 더해졌다...전세계 블록체인人 만남의 광장
- 애플, '에어팟 프로3' 공개..."ANC 기능 2배 향상"
- 애플, 차세대 '애플워치 11'에 혈압 측정 기능 탑재...'SE3·울트라3'도 공개
- 애플, '아이폰 17' 기본 모델도 120Hz 주사율 '프로모션' 기능 지원
- "미래에서 온 아이폰"...5.6mm 두께 '아이폰 에어' 등장
- 카메라 키운 '아이폰 17 프로'...베이퍼 챔버 탑재로 발열 제어 성능 'UP'
- '아이폰 에어' 내세운 애플, 뒤처진 'AI' 경쟁 대신 잘하는 '디자인'으로 승부(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