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래부는 8월 말 ‘사이버위협 발생 대비 보안 강화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서 미래부는 정보통신기반시설, ISP, 쇼핑몰, 포털, 게임개발사, 백신 기업, 웹호스팅사, 웹하드 기업,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대상 기업, 집적정보통신시설(IDC) 등에 사이버보안을 강화할 것을 요청했다.
이어 미래부는 ‘최근 태영호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의 탈북과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한미연합 군사훈련 실시 등을 계기로 북한의 사이버테러 도발 가능성이 고조돼 기업의 사이버 대응태세 강화가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미래부는 기업들에게 PC, 서버 등에 대한 주기적인 악성코드 감염 여부 확인 등 기업 내 정보보안 관리 및 사이버위협 경계태세를 유지, 강화하고 특이 사항 발생 시에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 신고해줄 것을 요청했다.
미래부는 통일부가 지난달 21일 밝힌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우려해 공문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통일부는 태영호 공사의 탈북과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한·미연합 군사훈련을 계기로 북한이 테러를 도발할 수 있다고 4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으며, 그중 하나가 사이버테러였다. 또 최근 인터파크에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터진 것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같은 상황을 고려해 정부 시스템뿐 아니라 민간 주요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공격도 우려해 민간 기업에게 주의를 당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특별한 사이버위협 정보가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올해 초부터 계속되는 긴장 상황에서 북한 공사 탈북 등 최근 상황을 고려해 민간 기업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공문을 발송했다”고 말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