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도 인공지능 선행연구 조직 신설
#사업조직과 연구조직 분리...인재확보 '주력'
#네이버 전 서비스에 적용될 AI기술 연구
네이버가 한성숙 대표 직속으로 인공지능(AI) 연구소를 신설, 선행기술 확보에 나섰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기존 클로바 CIC에서 선행연구조직을 분리한 네이버AI 연구소(가칭)을 출범한다. 그간 네이버의 AI 플랫폼 '클로바(Clova)'를 비롯 AI 연구를 총괄하던 '클로바 CIC(사내독립기업)와는 별도로 네이버가 신설한 AI 연구소다.
그동안 네이버의 AI 기술 연구는 클로바 CIC가 담당해왔다. 그러나 클로바 관련 AI 연구를 넘어 선행기술 연구 필요성이 커지면서 이에 주력하는 AI 연구소를 출범하기로 한 것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AI 기술이 일부 서비스가 아닌 검색이나 음악, 뉴스 추천 알고리즘 등 여러 분야에 접목되고 있다"며 "이런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AI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어 별도로 AI 연구소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AI 연구소장은 클로바 개발 조직을 이끌고 있는 하정우 리더가 맡게 됐다. 앞으로 네이버는 AI연구소를 설립함에 따라 향후 더 적극적으로 AI 인재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네이버는 우리나라와 일본, 프랑스, 베트남을 연결하는 '글로벌 AI 연구 벨트'를 구축할 계획인데, 이 연구벨트에서도 '네이버AI'가 핵심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네이버의 이같은 움직임은 카카오가 AI 전문 연구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을 설립한 것과 유사한 움직임이다. 카카오 역시 김범수 의장 직속으로 카카오브레인을 출범, AI 선행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문정은 기자 m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