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뱅크샐러드
사진 = 뱅크샐러드

 

어느덧 연말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정신없이 지나버린 1년을 제대로 마무리하지 않으면, 신년부터 또다시 흘러가는 시간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이럴 때 필요한 앱들이 있다. 개인의 생활을 기록하고 또 정리하면서 1년 동안 나도 잊고 있던 나를 알게 해주는 서비스들이다. 12월마다 머리 아픈 직장인들의 연말정산을 정리해주고, 연초 계획했던 목표들을 습관처럼 만들어주는 등 유익해서 중독성 있고 볼수록 재미를 더하는 연말 인기 앱들을 테크M이 들여다봤다. 


'13월의 월급' 홈택스로 연말정산 환급액 미리 체크


연말정산은 직장인들이 '13월의 월급'이라고 부를 정도로 때에 따라 월급만큼의 환급액을 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매년 연말마다 홈택스 미리보기 서비스가 오픈 되면 홈페이지가 마비될 정도로 직장인들의 관심 또한 높다. 하지만 연말이 되기 전에는 알 수가 없어서 답답했을 터. 이제는 미리 보기 서비스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는 전년도 금액으로 채워진 공제 항목을 올해 사용액으로 수정해 연말정산 세액을 미리 계산해 주는 서비스다. 홈택스에 접속하면 카드, 현금, 전통시장, 대중교통 이용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0월부터 12월까지의 사용 예상액과 총급여액까지 입력하면 최저 사용 금액 및 결제 수단별 공제율 등을 고려해 계산된 소득공제 예상액과 세액 변동분까지 확인 가능하다. 회원가입 후 ID/PW나 공인인증서로 접속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볼 수 있다.


카드 소득공제 환급액 확인! 1년 내내 관리는 '뱅크샐러드'


뱅크샐러드 연말정산 서비스는 신용카드 소득공제 예상 환급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앱을 다운로드 받아 회원가입을 한 후, 평소 이용하던 금융 서비스를 연동하면 자동으로 분석해 알려준다. 

환급액 수준을 분석해 어떤 방법을 이용하면 최대 환급액을 받을 수 있는지도 직관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비중이 높은 고객에게 '신용카드 대신 현금과 체크카드를 사용하면 7만 원 더 돌려받을 수 있어요'와 같은 식이다. 즉, 매일 예상 환급액을 보면서 더 똑똑하게 소비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

뱅크샐러드 연말정산 서비스는 앱에 접속해 연말정산 탭으로 이동하면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뱅크샐러드 연말정산 탭에서 본인의 신용카드 소득공제 예상 환급액을 진단해 본 결과 '최대 환급액'이라는 문구를 볼 수 없다면, 2020년 코로나19의 여파로 카드 소득공제율이 최대 80%까지 높아진 만큼 평소 필요로 하던 물품을 12월에 구입해 세금 혜택을 최대치로 끌어 올리는 것이 좋다.

 

사진 = 구글
사진 = 구글

 


1월에 무슨 일이 있었지? '구글포토'와 '데이무드'가 기억한다


매일 일어나는 일들을 일기장에 남겨두지 않으면 잊어버리거나 흘러가 버릴 수 있다. 그렇다고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남기고 싶지 않다. 오직 나만 보고, 나만 간직하고 싶다면 간단한 기록 앱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사진과 동영상 관리 및 저장 서비스인 구글포토는 용량 걱정 없이 무료로 사진과 동영상을 무제한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서비스다. 하지만 지금까지 무료로 이용 가능한 것과는 달리 아쉽게도 구글에서 내년 6월부터 유료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무료로 제공될 때 체험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구글포토는 일일이 사진을 옮기거나 별도의 정리가 없어도 실시간으로 폰 안에 사진들을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다. 날짜나 분위기에 따라 구글포토가 알아서 앨범을 만들어주거나 특별한 동영상이 생성되는 등 재미있는 이벤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매년 같은 날짜에 찍힌 사진들을 모아서 보여주는 것도 구글 포토만의 재미있는 서비스다. 이 밖에도 동일한 인물과 장소에 따라 분류가 되고,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연관된 사진들을 검색할 수도 있다.
 
데이무드에는 기쁨, 슬픔, 분노, 짜증, 공포 등 다섯 가지 감정을 기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감정의 강도는 1부터 100까지로 지수를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느끼는 그대로의 감정에 따라 표정과 지수를 표기하면 된다. 간단하게 감정에 대한 메모도 남길 수 있다. 기록된 감정들은 실시간 통계로 확인할 수 있다. 매일 기록을 해두면 매월 어떤 감정으로 살아왔는지 볼 수 있고, 연말에는 올해 어떤 감정으로 보냈는지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내년에는 또 어떤 감정으로 살아야 하는지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데이무드는 익숙한 이모티콘의 소재로 접근이 쉽고 누구나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다.


작심삼일은 인제 그만! 닷 해빗(DotHabit)으로 계획짜기


연초에는 누구나 새로운 계획을 세우게 된다. 하지만 365일 꾸준하게 계획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럴 땐 습관 앱의 힘을 빌려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닷 해빗'은 습관을 달성할 때마다 점을 채워가는 방식으로 한눈에 성과를 보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점점 쌓여가는 점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다이어트, 영어 공부하기, 매일 10분 독서 등 원하는 계획을 도전의 이름으로 지목해 테마를 만들고 포부를 작성하면 점이라는 직관적인 매개체를 통해 습관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목표 달성율까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스스로 체크하기 좋고, 연말에 점검하면서 돌아오는 신년에 더 나은 계획을 만들기에도 유용하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