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팍스, 3년 '존버'하며 잔근육 키웠다
#은행 진입하는 내년... 업계도 전문화된다
#차별화는 전문트레이더를 위한 거래소
"(가상자산 시장에서) 키워드가 '전문화'이지 않을까. 시장이 커질수록 가상자산 운용, 거래소 등의 전문 기업이 등장할 것. 우리는 가상자산을 전문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이 찾는 거래소로 거듭날 것이다" (이준행 고팍스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올해 중순부터 전문 투자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내놓더니, 최근에는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도 열었다. 그간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곳으로 알려진 고팍스가 브랜딩화에 나서며 수익 다각화를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실제 내년에는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많은 변화가 예고돼 있다. 내년 3월이면 가상자산 관련 규제법인 개정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이 시행된다. KB국민은행의 '한국디지털에셋(KODA)'을 비롯 시중은행들의 가상자산 사업 행보도 가시화된다. 거래소들도 사업자 신고 대비와 동시에 차별화 전략을 내놔야 할 때인 것이다.
은행-가상자산 거래소 궁합 좋다
이준행 대표는 은행과 가상자산 거래소가 가진 강점들이 결합해 만들어 낼 수 있는 시너지가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대표는 "여신과 수신 영역에서 은행을 이길 수 없지만, 가상자산을 다룰 수 있는 기술적 인프라와 네트워크, 가상자산을 활용해 만들어 낼 수 있는 고부가가치 등은 거래소와 같은 곳이 잘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이 두 기관이 뭉치면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통 금융 기관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면 시장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뿐 아니라 이 신뢰를 활용해 할 수 있는 서비스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그는 일례로 기관 대상 프라임브로커리지를 들며, 이 같은 서비스는 가상자산 거래소 신뢰만으로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그는 수탁 서비스, 자산운용, 거래소 등으로 각각의 가상자산 전문화된 영역으로 나눠져, 이들이 시너지를 내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네시스와 제휴 '고파이'..."기대 이상"
이런 측면에서 고팍스는 제네시스 글로벌 등 가상자산 전문 운용업체들과 협업해 예치 서비스를 내놨다. '고파이'다. 실질 자금 운용은 이들이 맡는 것이다. 현재 고파이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지원하고 있다.
이 대표는 고파이의 성적이 이미 기대 이상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18일 출시된 고파이에 30일 기준 비트코인 300개, 이더리움 3500개, 총 약 100억원 규모가 유입됐다. 그간 시장에서 원칙을 지키며 쌓은 신뢰도 한몫을 했다는 게 이 대표의 설명이다.
고파이는 중앙 특정 기관에서 자금을 운용해 이자를 지급하는 씨파이(Centralized Finance, Cefi)다. 물론 이 대표는 최근 가상자산 업계 화두인 '디파이'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다.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특정 기관 개입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금융 생태계를 말한다.
그는 디파이 강점으로 국경을 뛰어넘는 확장성을 꼽았지만 아직까지는 해킹 등의 한계점을 들어내며 실험적인 단계에 머물러있다고 진단했다. 이 대표는 "결국에는 디파이의 확장성 강점과 씨파이의 효율성 등이 합쳐진 서비스가 나오게 될 것"이라며 "고객 입장에서는 분산화 여부보다 좋은 조건의 금융 상품을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제 숙제는 사업자 신고, 그리고 차별화
가상자산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만큼, 이제 고팍스 또한 차별화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물론 사업 지속성을 위해서는 내년 9월까지 금융당국으로부터 가상자산사업자(VASP)를 신고해야 한다. 내년 3월 특금법이 시행되면 기존 거래소들은 ISMS(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을 획득하고 실명확인 입출금계좌를 받아 9월까지 신고를 마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고팍스는 실명확인 입출금계좌를 발급받기 위해 복수의 시중은행들과 지속 논의 논의 중이다. 고팍스는 거래소 최초로 ISMS을 획득하고 그간 보수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해왔기에 실명계정 발급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이제는 특금법 시행 이후 거래소 전략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
이 대표가 전한 고팍스의 차별화 핵심은 전문 트레이더들을 위한 서비스 고도화다. 실제 지난 6월부터 고팍스는 기존 이더리움(ETH) 마켓을 폐지하고 전문 트레이더를 위한 프로(PRO)마켓을 열었다. 지난 10월에는 전문 트레이더들이 다양한 투자 전략을 구하라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웹소켓 API 서비스를 오픈했다.
이 대표는 "특히 API 서비스는 주문 거래 효율성이 높아 국내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프로마켓 또한 고팍스 전체 거래량의 10%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서비스를 고도화시키는 방향으로 고팍스는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정은 기자 m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