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금, 오디오인가.'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던집니다.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볼거리가 넘쳐나는 시대에 도대체 왜 듣는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을까요? 1920년대 주파수를 맞춰 듣는 전파 라디오는 현재 비디오에 밀려 레거시 미디어가 됐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디오와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새로운 오디오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음성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팟캐스트, 오디오북, 명상 콘텐츠 등으로 생태계가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디오 열풍이 부는 지금 이 현상을 그리 쉽게 설명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콘텐츠 소비 흐름이 비디오에서 오디오로 완전히 바뀌는 중인 것도 아닌 것 같고요. 유튜브와 틱톡, 인스타그램 등 글로벌 플랫폼들은 여전히 '숏폼'이라 불리는 짧은 분량의 '비디오' 콘텐츠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으니까요.
관련기사
- [테크M 오리지널] '내 귀에 캔디' 오디오 콘텐츠 시장이 뜬다
- [테크M 오리지널] 오디오 플랫폼 경쟁, 이제 시작이다
- [테크M 오리지널] 억대 연봉을 꿈꾸며 '스푸너'가 되어보자
- 카카오 '브런치' 멜론에 오디오북 오리지널 콘텐츠 선보인다
- '강형욱의 댕댕이 라이브' 카카오 오디오 플랫폼 '음'에서 열린다
- [테크M 오리지널] VC와 VC업계가 궁금한 사람들이 꼭 읽어야 할 이야기
- [테크M 오리지널] VC도 변해야 산다
- [테크M 오리지널] 잘 나가는 실리콘밸리 VC의 투자 유치 노하우
- [카드뉴스] VC가 궁금하다면 꼭 읽어야 할 이야기 'VC탐구백서' (테크M 오리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