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우리 실생활에서 블록체인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2021년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디지털 뉴딜 종합계획(20.7월)',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20.6월)'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이번 시범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경제 사회에 조기 적용 확산하고 공공 서비스를 혁신하기 위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1월 8일부터 2월 23일까지 자유공모를 통해 총 55개 컨소시엄(149개 기업)이 디지털 신원, 자격증명, 문화 예술, 물류 유통 등 분야에서 과제를 자유롭게 제안했다. 현재까지 기술협상을 완료한 15개 과제들을 우선 선정하여 착수한다.
15개 과제는 선도 시범사업 9개 과제와 DID 집중사업 2개 과제, 특구 연계사업 4개 과제다. 현재 기술협상이 진행중인 4개 과제는 협상이 완료되는 즉시 추진할 예정이다.
선정된 과제 중 대표적인 2가지 과제는 ▲국민연금공단의 국민연금 수급권 확인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 ID를 적용해 해외에 거주하는 국민연금 대상자가 연금 수급권 확인 서류 제출 시 우편 대신 모바일 앱으로 편리하게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과 ▲병무청이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전자지갑을 구축해 병적증명서 등 병역 관련 전자문서 28종을 모바일 전자지갑에서 발급받고 민간서비스에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이 외에도 ▲해양 안전 확보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선박검사관리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본인확인 및 결제 플랫폼 구축 ▲예술인의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동영상 콘텐츠 유통 플랫폼 ▲주문배송 O2O 생태계 전반 DID집중 구축사업 ▲블록체인 기반 영화투자금 관리툴과 P2P 스트리밍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아파트 통합 관리 플랫폼 등이 과제로 선정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선정된 과제들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 인터넷 보안, 법률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과제별 자문위원단'을 구성하여 지원하고, 블록체인 및 DID 기술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DID 기술 및 표준화 포럼'과 긴밀하게 협력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블록체인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