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서울시-한국교통연구원, '서울 생활이동' 공공 빅데이터 개발 완료
서울 이동 데이터를 목적, 장소, 시간대, 성, 연령별로 분석
KT는 서울시,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서울 생활이동은 '특정시점', '특정 지역 간' 서울 안에서 이동하거나 서울 외부에서 서울로 오고 간 모든 사람들의 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를 말한다. KT의 통신 데이터와 서울시가 보유한 공공 빅데이터, 한국교통연구원의 통행량 데이터를 융합해 만들어졌다.
정기적인 출·퇴근 및 등·하교는 물론 비즈니스, 쇼핑, 여가활동 등을 위해 이동한 경우를 포함하며, 출발지, 목적지, 시간대, 성, 연령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전역을 행정동보다 조밀한 1831개 구역으로 나누고,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해 시의성 있는 세밀한 정책 지원이 가능하다.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간의 가치가 중요한 현대사회에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통근시간과 통학시간의 개선을 위해 개발됐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이나 통근 및 통학시간 개선 등 서울시의 각종 정책 수립에 활용될 예정이다. 예컨대,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높게 나타난 노선의 증차를 결정하거나, 대중교통 인프라 수요가 높은 지역에 버스노선을 신설할 수도 있다. 또한 청년 공공주택 부지로 2~30대 통근인구가 많은 지역을 선정하는 등 도시 공간 구조개선에도 활용될 전망이다.
최준기 KT AI/빅데이터 사업본부 본부장은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민·관·연 협력모델로 성과를 창출한 사례"라며 "생활이동 데이터가 스마트시티 서울을 구현하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통신3사·네이버·카카오·삼성까지 뭉쳤다...글로벌 초거대 AI 선도국가 첫발
- KT, AI 무상교육 프로젝트 추진…2024년까지 인력 3600명 양성
- '국가대표 AI 기업' 통신3사·네이버·카카오·삼성 뭉쳤다…'초거대 AI' 생태계 구축(종합)
- KT-온더보더, AI 서빙로봇 상용화 '맞손'
- KT-신한금융, AI 공동연구와 모빌리티·로봇 제휴 '맞손'
- "100조 데이터 시장 잡아라" KT, 글로벌데이터 전문기업 '엡실론' 인수
- KT-힘펠, AI를 기반으로 안전하고 쾌적하게 숨쉬는 공간 만든다
- "집콕 파트너 클래스101이 올레 tv에" KT-클래스101, 교육 사업 확장 위해 '맞손'
- "밀리-엡실론-뱅샐-웹케시" 구현모 KT, 적극적 M&A·투자로 '디지코'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