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서울시-한국교통연구원, '서울 생활이동' 공공 빅데이터 개발 완료
서울 이동 데이터를 목적, 장소, 시간대, 성, 연령별로 분석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 시각화 화면. /사진=KT 제공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 시각화 화면. /사진=KT 제공

KT는 서울시,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서울 생활이동은 '특정시점', '특정 지역 간' 서울 안에서 이동하거나 서울 외부에서 서울로 오고 간 모든 사람들의 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를 말한다. KT의 통신 데이터와 서울시가 보유한 공공 빅데이터, 한국교통연구원의 통행량 데이터를 융합해 만들어졌다.

정기적인 출·퇴근 및 등·하교는 물론 비즈니스, 쇼핑, 여가활동 등을 위해 이동한 경우를 포함하며, 출발지, 목적지, 시간대, 성, 연령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전역을 행정동보다 조밀한 1831개 구역으로 나누고,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해 시의성 있는 세밀한 정책 지원이 가능하다.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간의 가치가 중요한 현대사회에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통근시간과 통학시간의 개선을 위해 개발됐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이나 통근 및 통학시간 개선 등 서울시의 각종 정책 수립에 활용될 예정이다. 예컨대,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높게 나타난 노선의 증차를 결정하거나, 대중교통 인프라 수요가 높은 지역에 버스노선을 신설할 수도 있다. 또한 청년 공공주택 부지로 2~30대 통근인구가 많은 지역을 선정하는 등 도시 공간 구조개선에도 활용될 전망이다.

최준기 KT AI/빅데이터 사업본부 본부장은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민·관·연 협력모델로 성과를 창출한 사례"라며 "생활이동 데이터가 스마트시티 서울을 구현하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