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CJ올리브네트웍스 제공
/사진=CJ올리브네트웍스 제공

CJ올리브네트웍스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신기술을 활용해 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적 위험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일례로 금융감독원이 주관하고 CJ제일제당, 이화여자대학교 등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사업 영향도를 추정하는 데이터 기반 기후 리스크 관리모형 '프론티어1.5D(Frontier1.5D)'가 있다.

기후 재난에 따른 사업 설비와 공급망 등에 끼칠 영향도를 분석하는 '물리적 리스크' 분석과 저탄소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손실을 추산하는 '이행 리스크'를 예측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회사는 연내에 프로토타입 개발을 완료하고 국내 사업장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할 계획이다. 이후 오는 2022년 고객사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회사 측은 "기업 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사회적 데이터 수집, 관리가 미흡하고 ESG 경영에 대한 일관적이고 정확한 분석·대응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며 "정보기술(IT)을 활용해 고객의 ESG 역량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