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거대기술기업들이 최근 대체불가능한토큰(NFT) 규제에 나서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NFT에 투기 우려를 나타내자 주요 기업이 선제적인 움직임을 보인 것입니다.
현지시간 30일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에 따르면,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SNS 플랫폼 '위챗'은 이날 NFT 서비스와 관련된 계정 10개 이상을 중지시켰습니다. 이중에는 주요 NFT 플랫폼인 아트메타와 화성메타, 아이박스, 원메타 등이 포함됐습니다.
위챗은 투기 활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만약 규정을 우회하려는 시도가 있다면 해당 계정은 원천 금지되거나 삭제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가상 자산을 의미합니다. 중국 당국은 가상자산과 달리 NFT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이를 '디지털 수집품'이라고 부르며 가상자산과 구분 지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인민일보가 NFT를 "가상자산 투자자와 자본에 의해 과장된 제로섬 게임"이라고 표현하는 등 최근 중국에서는 NFT 투기 우려가 일고 있습니다. 이에 위챗이 먼저 NFT 시장 규제에 나선 것입니다.
이어 31일 위챗이 NFT 규정을 발표했습니다. 규정에 따르면, 위챗 이용자는 NFT 전시를 할 수 있지만 재판매는 금지됩니다. 또 NFT 플랫폼 기업들에게 중국 사이버관리국(CAC)으로부터 허가증을 받아 제출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미국 CNBC는 "텐센트는 NFT가 투기성이 짙다고 판단한 것이다. 곧 등장할 중국 당국의 제재를 모면하기 위해 신중한 입장을 내비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중국 인민대 왕펑 교수는 "NFT 시장에 대한 정책 규제는 최근 힘을 얻고 있다"며 "텐센트의 결정은 잠재적인 금융 리스크를 막기 위한 예방적 조치"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23일에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이 NFT에 대한 규칙을 강화했습니다. 앤트그룹은 발표문을 통해 "이용자가 플랫폼 외부에서 NFT를 거래한 사실이 밝혀지면 경찰에 사실을 알리고 사법 당국에 자료를 넘기겠다"고 밝혔습니다.
빠른 속도로 확장 중이던 '회색지대' NFT 시장에 대해 중국이 직접 규제에 나설지 무척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안드로이드에서 쫓겨난 러시아, 중국 화웨이 OS에서 광명 찾나
- [글로벌] 삼성 이어 샤오미도 긱벤치 퇴출?..."앱 마다 성능 수준 달라"
- [글로벌] 2006년 행성 퇴출된 '명왕성'에서 얼음화산 활동이 목격됐다
- [글로벌] 애플 페이 말고 애플 뱅크?...애플, 지불 결제 기술 개발한다
- [글로벌] 알고리즘 버그에 경쟁사 비방까지...페이스북 메타, 계속 되는 '잡음'
- [글로벌] 中 알리바바 클라우드, 자체 AI 모델 공개...AI 기능 개발 박차
- [글로벌] 中 텐센트 "엔비디아 반도체 비축...국산 자원 찾아야" 강조
- [글로벌] 中 최대 IT 기업 '텐센트' 회장 "최악의 시간 극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