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5G 요금제의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지적에 눈길이 쏠린다. 소위 5G 중간 요금제가 등장할지 관심이다.
인수위원회는 지난 28일 이용자들의 평균 데이터 이용량을 고려해 5G 요금제를 다양화하겠다고 밝혔다. 남기태 인수위 과학기술교육분과 인수위원은 "통신사는 10GB와 100GB 요금제만 제공하고 있는데 이 간극을 메울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15GB와 100GB 사이의 이용량을 보이는 이용자들을 위한 5G 요금제는 없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5G 가입자 1인당 월평균 트래픽 약 26GB다. 하지만 통신사가 제공하는 월 6~7만원대 5G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은 100GB가 넘는다. 월 평균 20~40GB 가량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사용량보다 많은 요금을 지불하며 어쩔 수 없이 100GB 이상 제공 요금제나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하고 있는 셈이다.
국회 등을 통해 여러차례 5G 중간 요금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지만 통신사들은 아직 5G 중간 요금제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부터 출시를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지금까지도 별다른 행보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
남기태 위원은 "인수위는 요금제 다양화라는 원칙을 제안한다"며 "상세 내용은 관계부처 협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인수위는 오는 2026년까지 5G 주파수를 2배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4년까지 농어촌까지 5G 전국망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또 건물 신축 시 광케이블 설치를 의무화해 대용량 인터넷 서비스 발전에 대비하고 통신 장애 시, 각 통신사가 보유한 와이파이망을 개방하는 '재난 와이파이'를 통해 국민들의 통신 서비스 지속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