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500억원을 투자한 해긴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해긴은 컴투스를 창업했던 이영일 대표가 지난 2017년 설립한 회사다. 한국판 '로블록스'라 불리는 '플레이투게더'를 개발해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1억건을 돌파한 글로벌 메타버스 산업의 선두주자로 손꼽힌다.
일 400만명이 즐기는 글로벌 대표 메타버스 '플레이투게더'
6일 SK스퀘어와 SK텔레콤은 게임 개발사 해긴에 각각 250억원씩 총 5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로 SK ICT 계열사는 해긴의 3대주주로 올라섰다.
SK 그룹이 해긴에 투자한 것은 메타버스 생태계 확장을 위해서인 것으로 풀이된다. 해긴의 '플레이투게더'는 메타버스 요소를 갖춘 30여 종의 실시간 미니 게임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최근 최대 일일 이용자 수(DAU)가 400만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SK 그룹은 이미 SK텔레콤의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해긴과의 협력을 통해 '이프랜드'에서의 즐길거리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특히 해긴이 게임에 특화된 메타버스인 만큼 이프랜드에도 게임적인 요소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플레이투게더가 해외에서 더 인지도가 높은 서비스인 만큼, 이프랜드의 해외 공략에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을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SK그룹, '해긴' 투자로 가상자산 사업에도 더 속도낼 듯
아울러 이프랜드와 플레이투게더간의 연결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향후 SK그룹의 가상자산이 이프랜드에 도입되면 이 가상자산을 활용해 플레이투게더와 연결하는 형태의 서비스도 구상해볼 수 있다.
지금은 로블록스, 제페토, 이프랜드, 플레이투게더 등 서로 다른 메타버스들이 각자 영역을 키워가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이같은 메타버스들이 서로 연결되는 소위 '멀티 메타버스' 세계가 만들어질 것이란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해긴의 경우 카카오의 계열사인 메타보라의 블록체인 '보라'의 파트너로 일찌감치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에도 관심을 보여왔다. SK그룹이 카카오의 블록체인 클레이튼을 활용해 가상자산을 발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라와의 시너지도 기대해볼만하다는 것.
또 투자회사인 SK스퀘어 입장에서는 해긴만큼 군침나는 투자처도 없다. 이미 유니콘 반열에 올라선 해긴인 만큼 향후 서비스가 고도화되면 이번에 투자한 지분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SK스퀘어는 설립 이후 첫 투자처로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을 선택한데 이어 이번에도 가상자산과의 연계가 예상되는 메타버스 기업을 투자처로 선택했다. 연내 자체 가상자산도 발행할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SK그룹의 가상자산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카카오게임즈·넵튠, 메타버스 게임사 '해긴'에 400억원 투자
- 덩치 불리는 보라 생태계...게임사 '해긴' 유니콘 대열 합류
- 해긴 '플레이투게더', IPX와 맞손...라인프렌즈 버추얼 스토어에 '트루즈' 뜬다
- 누적 1억 다운로드 넘은 '플레이투게더' 개발사 해긴, 임직원에 성과급-스톡옵션 쐈다
- [게임코인TV] 보라 2.0 백서에서 주목할 기업은? e스포츠 '레전더리스' 메타버스 '해긴' (중)
- SK스퀘어-SKT, 게임사 '해긴'에 500억 투자
- [카드뉴스] '해긴'은 어떤 기업? SK가 500억 투자했다... 글로벌 메타버스 선두주자
- 원스토어, 블록체인(P2E) 게임 적극 수용..."SK스퀘어와 협력할 것"
- [테크M 이슈] 루나와 결이 다르다...'위믹스&보라' 투자자가 웃는 이유
- 해긴 '플레이투게더' 카이아 패션위크 개최...온라인서 패션 대결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