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인공지능(AI) 연구 집중을 통해 AI 2.0 시대를 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기존 AI가 정보탐색에 집중됐던 것과 달리 AI 2.0 시대는 사람의 감성적인 부분까지 살펴볼 수 있는 감성 AI라는 것이 KT 측의 설명이다.
배순민 KT AI2XL 연구소장은 지난 19일 디지코 스터디에 참여해 KT의 AI 연구가 넥스트레벨을 향해 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 소장은 "지금의 AI를 넘어서는 넥스트레벨 AI를 향해 가고 있다"며 "이성적인 AI 뿐만 아니라 감성적이 AI, 공감하는 AI를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배 소장은 AI 기술 발전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AI는 여러 기업들이 도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배 소장은 "(전 세계적으로) 감성 AI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도 있는 것 같다"며 "최근 나오는 에이전트와 같은 AI들도 맞는 것이나 틀린 것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무례한 AI가 되지 않도록 진화하고 있다는 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감성까지 살피는 AI가 KT AI의 '넥스트레벨'
실제로 KT는 올 하반기 다양한 AI가 접목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다만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하기보다는 기존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형태로 AI 서비스가 이뤄질 예정이다. KT의 대표적인 AI 서비스로는 인공지능콜센터(AICC)와 AI 스피커 '기가지니', 그리고 서빙을 도와주는 AI로봇 등이 있다.
배 소장은 "서비스를 새로 발굴한다는 느낌보다는 기존 AI 서비스들을 고도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며 "예를 들어 AI로봇이라면 로봇들이 하는 일을 더 늘려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AI 통화비서의 경우 더 간단한 버전을 만들 수 있다. 지금보다 더 '디테일'을 강조한 AI 서비스를 내놓으려고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배 소장은 정부가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기업들이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개방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배 소장은 "정부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데이터를 외부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창구가 없다는 점이 가장 아쉽다"며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리스트업 되고, 이 데이터들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또 이 데이터를 활용한 리뷰까지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데이터 사일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AI 교육 시스템도 더 체계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인력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데, 교육시스템이 AI 인재를 미리 준비하지 못했다는 것. 지금이라도 빨리 준비해서 훌륭한 AI 인력들이 발굴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 KT 역시 학계와 연계해 AI 인력을 양성하는데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미 사업화 이뤄낸 KT, 선순환 구조 만들었다"
배 소장은 "카이스트와 공동연구도 하고 있고, 한양대학교와의 계약학과도 진해앟고 있으며 한양대 외에도 여러 대학과 계약학과를 더 많이 추진하고 있다"며 "또 내부적으로 AI교육 체계를 갖춰서 외부 기업들도 KT의 AI교육을 활용해서 기존 인력을 AI 인력으로 다시 훈련시키는 방안도 이미 사업화가 돼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배 소장은 KT는 AI 연구인력만도 수백명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주니어 인력부터 시니어 인력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AI 연구인력이 있어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KT의 강력한 자산이라는 것. 덕분에 KT는 이미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AI로 실질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처럼 실제 사업화까지 진행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이 배 소장의 설명이다.
그는 "실제로 매출이 나오기 때문에 AI 연구인력 채용도 과감하게 할 수 있는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는 것 같다"며 "하반기에는 정보나 편리함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에게 위로가 되거나, 나의 어려움을 할께 공감해주면서 삶을 더 풍성하게 할 수 있는 KT의 AI 2.0을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