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은 자사 '스마투(스마트한 투자 방법)' 서비스 3개월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적립식 구매가 묶음 구매보다 더 많이 이뤄졌다고 3일 밝혔다.
코빗은 스마투 서비스를 출시한 지난 2월 28일부터 5월 28일까지 약 3개월간 상품별 거래량과 연령대, 인기 상품, 구매 주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스마투 서비스는 비트코인·이더리움을 금액·기한에 맞춰 반복 구매할 수 있는 적립식 구매와 여러 종류의 가상자산을 사전에 구성된 포트폴리오에 맞춰 한 번에 구매하는 묶음 구매로 구성된다.
코빗 분석에 따르면 전체 거래량에서 적립식 구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75%, 묶음 구매 비중은 25%로 나타났다. 1인당 거래량에서도 적립식 구매는 114만원, 묶음 구매는 57만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적립식 구매의 경우 30대가 거래량의 37%, 40대가 거래량의 35%를 차지했다. 30~40대가 적립식 구매 거래량의 72%를 차지한 셈으로, 코빗은 이 연령대에 해당하는 투자자가 간편하게 비트코인 등 대장주 위주로 투자하는 상품에 흥미를 느낀 결과라고 설명했다.
묶음 구매의 경우 60대 이상이 거래량의 31%, 50대가 거래량의 26%를 차지했다. 50~60대 이상이 묶음 구매 거래량의 57%를 차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코빗은 50~60대 이상 투자자들이 웨이브릿지 등 전문 금융 투자 기업이 보증한 바스켓 상품에 관심을 가진다고 분석했다.
남녀 거래 비율에서는 적립식, 묶음 구매 두 상품에서 모두 8:2로 남성 투자자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별 인기 종목을 살펴보면 적립식 구매는 전체 주문 건수의 64%가 비트코인을 구매했고, 나머지(36%)는 이더리움을 구매했다. 묶음 구매의 경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상품에 68%가 몰렸다. 또 13%가량이 '웨이브릿지 메타버스-대체불가능토큰(NFT) 지수' 상품을 선택했다.
그 외 ▲주요 가상자산 6종 ▲웨이브릿지 가상자산 종합지수 묶음 ▲웨이브릿지 탈중앙화금융(디파이) 지수 묶음 등 세가지 상품에 주문 건수가 고르게 분포됐다.
적립식 구매에서 주기별 주문 건수를 살펴보면 일간, 주간, 월간 주기에 골고루 분포돼 있었다. 특히 월간 주문의 경우 매월 15일, 1일, 25일 등 일반적인 대금 결제일이나 급여일에 주문이 몰려 있어 기존 예적금 납입과 유사한 형태로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고 코빗 측은 설명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코빗, 업계 최초 수수료 혁신···이용자에게 수수료 돌려준다
- 코빗 리서치센터, 가상자산 증권성 여부 판별하는 '토큰 세이프 하버' 조항 소개
- 거래하면 포인트 주는 코빗, 친구 초대 이벤트 더해 고객 유치 총력전
- 코빗, 루나 거래 지원 종료 예고...수수료 수익 전액 투자자 보호에 보탠다
- [코린이톡] 권도형의 '출구전략' 또 코인 찍은 테라, 3가지 시사점은
- 코빗, 홈페이지 전면 리뉴얼...테마별 가상자산 탐색한다
- 코빗, 전사 임직원 대상 사원증 NFT 지급
- 코빗, 삼성페이 고객 대상 비트코인 지급 이벤트 연다
- '지금 사도 될까요?'...'OO판' 등 커뮤니티에 묻지 말고 코빗에서 대화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