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지난 24일 ESG위원회 회의를 열고, 2050년까지 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26일 밝혔다.
LG유플러스와 같은 통신사의 온실가스 배출은 직접배출보다 전력 사용으로 인한 간접배출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근 5G 상용화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증설로 간접배출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LG유플러스의 2020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75%는 네트워크 장비, 15%는 IDC, 10%는 사옥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ESG경영과 온실가스 저감활동에 동참하기 위해 2050년까지 전력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다.
우선 국제협의체인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SBTi)'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해 2030년까지 약 53%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중간목표를 세웠다. 최종적으로 2050년 기준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의 25%를 자체감축하고, 나머지 75%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광동축혼합망(HFC)을 광가입자망(FTTH)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동절기 외기로 에어컨을 대체하는 외기냉방장치 설치를 확대하는 등 국사와 IDC 냉방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같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전사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한국형 RE100(K-RE100)에 가입할 예정이다. K-RE100은 신재생 공급인증서(REC) 구매, 제3자 전력구매계약,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지분투자, 자가발전 등을 통해 전력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줄이자는 캠페인이다. 현재 국내 64개 기업이 K-RE100을 선언했다.
이종민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이번 2050 탄소중립 선언과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수립을 시작으로 네트워크 장비 및 냉방효율화 등 이행수단을 구체화하여 전사적인 ESG 경영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대안신용평가 서비스 연내 출시.."맞춤형 금융상품 제공"
- LG유플러스, 알뜰폰 통합 브랜드 '+알파' 발표..."중소 사업자와 상생하며 성장"
- LG유플러스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 내놨다
- LG유플러스, 고성능 지능형CCTV 선봬..."해킹 완벽 차단"
- LG유플러스, 싱가포르 정부·통신사 대표단에 양자내성암호 소개
- KT 'RE100' 가입...205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쓴다
- U+tv에 '으스스한 영화' 등 감정 검색 기능 도입한다...LG유플러스-업스테이지 '맞손'
- "성과내면 브랜드 모델로"···LG유플러스, 임직원 '도전' 문화 확산 나서
- 4주년 맞은 구광모호 LG, 미래성장동력 '클린테크' 키운다…5년 간 2조 투입
- 어르신 건강 책임지는 '스마트 실버케어'...LG유플러스-인천 남동구-가천대 '실증' 나선다
- LG유플러스, 해지 고객 찾아가 '쓴소리' 듣는 예능 '캐치유 시즌2' 공개
- LG유플러스, 노키아와 함께 6G 시대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