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제품 수리용 서비스 자재를 배송할 때 사용하는 포장재에 친환경 소재를 확대 적용한다고 6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부터 생산공장에서 국내 서비스센터로 보내는 서비스 자재의 배송용 박스와 테이프를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고 있으며, 6일부터 완충재와 지퍼백에도 친환경 소재를 적용하기 시작한다.
배송용 박스는 기존 배송 박스를 지속가능산림인증활동에 적용된 소재로 전환하고, 테이프는 비닐 테이프에서 종이 테이프로 바꿨다. 또 완충제로 종이 완충재를 도입했으며, 지퍼백도 재활용 합성수지 5% 이상인 RCS 인증 제품을 사용한다.
삼성전자는 오는 8월까지 이들 친환경 포장재를 모든 글로벌 서비스센터로 확대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연간 약 326톤의 탄소 배출 감축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3만 8천여그루가 1년동안 흡수하는 양에 해당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해외 서비스센터에서 수리 후 고객에게 보내는 제품의 배송 박스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해 10월을 시작으로 수리 후 제품 배송 박스에 친환경 소재를 적용해 왔으며 향후 전세계 31개국 주요 서비스 센터에 이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제품 배송 박스는 사용 후 다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적용했다. 삼성전자는 박스 내부의 QR 코드를 통해 배송 박스를 모바일 기기 거치대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동영상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고객 서비스 부문의 친환경 노력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지난 6월부터 180개국 서비스센터에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영수증, 명세서 등 종이 인쇄물을 전자 문서로 발급하는 '페이퍼 프리(Paper Free)' 시스템도 적용했다.
김형남 삼성전자 글로벌 CS센터 부사장은 "고객 서비스 영역에서 환경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면서 "고객 만족과 친환경 가치를 모두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삼성전자, 세계 최초 3나노 파운드리 양산…이재용 '기술의 삼성' 포문 열었다
- 삼성전자, 25kg 대용량 전자동 세탁기 '그랑데 통버블' 출시
- "AAA급 게임 넷플릭스처럼 바로 골라 플레이"...삼성 TV '게이밍 허브'로 '겜심' 저격
- 삼성전자, 디지털프라자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응원전 펼친다
- 삼성 디지털프라자에서 '네오 QLED 8K'로 NFT 작품 감상하세요
- 삼성전자 2분기 '겹악재' 뚫고 선방…하반기도 '반전' 노린다(종합)
- 로블록스에 '삼성 갤럭시'가 뜬다...'삼성 스페이스 타이쿤' 출격
- [카드뉴스] 삼성 갤럭시, 로블록스에 뜬다...'삼성 스페이스 타이쿤' 출격
- "삼성에서 SW개발자 첫 발 뗀다" 삼성청년SW아카데미 8기 1150명 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