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연호(號) 네이버가 근로문화 개선에 힘을 주고 있다. 네이버는 월 법정 근무 한도 도달 전 사내 시스템 접속을 차단하는 '셧다운제'를 시행한데 이어 10월부터는 '장시간 근로예방 테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한다는 목표다.
17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10월부터 장시간 근로예방 TF를 운영한다. 근로자대표와 인사담당(HR)이 참여해 초과근무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에 참여한다. 네이버 관계자는 "장시간 근로를 예방하고, 초과 근무를 줄여 가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앞서 네이버는 5월부터 법정 근로시간 최대치에 다다르기 이전에 회사 PC, 모바일 업무 도구 접근을 막는 정책을 도입했다. 매신저 라인과 협업툴 네이버웍스 등이 셧다운 대상이 됐다. 연장근로 한도를 초과하는 근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지난해 10월 고용노동부가 네이버를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근로감독 결과에 대한 후속 조치의 하나다. 당시 정부는 네이버의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미지깁 등 임금체불 적발 등의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후 네이버는 장시간 근로 예방을 위한 조치를 다각도로 취해왔다. 근로기준법 상 월 법정 근로 가능 시간 상한까지 근무하는 경우, 이후 법정 상한을 초과해 근무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장근로 시간의 최대 한도를 8시간 줄이고, 이후 시스템 접속을 차단했다. 가령, 7월 기준 근로시간은 168시간, 법정 연장 근로시간 상한은 53시간이나, 네이버는 45시간까지 연장 근로가 되면 시스템 접속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번 TF 신설로 네이버는 '초과근무' 방지 조치를 한층 더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네이버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근로시간을 제한해야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과로 이슈에 대한 내홍이 극심한 적도 있었다"면서 "선제적으로 이를 차단하겠다는 경영진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