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핀테크가 '종합 금융상품 백화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예금, 보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P2P) 등 다양한 금융사의 상품들을 비교·추천할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30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빅테크·핀테크 대표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핀테크 업계의 혁신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금감원이 다각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등이 참석했다.
그는 "중심지지원센터의 해외 기업설명회(IR) 개최를 통해 핀테크사의 신(新)시장 개척과 투자유치를 돕는 등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해외 핀테크산업 관계자를 초청해 국내 핀테크사의 해외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금감원 핀테크현장자문단은 핀테크지원센터와 공조를 통해 '원스톱 인큐베이팅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핀테크 유니콘으로의 도약이 가능토록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종합 컨설팅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더불어 이 원장은 핀테크의 성장을 응원하는 동시에 '책임 있는 금융혁신'을 당부하기도 했다. 그는 "플랫폼의 알고리즘은 금융상품 추천의 핵심요소인 만큼 소비자 이익이 최우선시 될 수 있도록 많은 고민을 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막대한 고객정보가 플랫폼에 집중되는 만큼 정보 보호·사이버 보안에도 지속적 관심을 가져달라"며 "소비자 정보주권을 최우선 가치로 고객정보를 수집·활용해달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금융플랫폼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할 것을 요청했다. 업계 뜨거운 화두인 간편결제 등 플랫폼 수수료는 시장 참여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될 사안으로 감독당국이 직접 개입할 의사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원장은 "플랫폼(간편결제) 수수료는 국민 생활과 밀접해 그간 국회 등 사회 다방면에서 문제 제기가 있었고, 수수료 공시방안에 대한 업계의 우려사항도 잘 알고 있다"며 "공시방안도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합리적으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 원장은 "금감원은 업계와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디지털 환경에 적합하지 않는 감독과 규제를 과감하게 계속 철폐해나가는 한편, 여러분(핀테크)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넓혀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