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부터 '유심' 대신 휴대폰에 내장된 e심을 활용한 휴대폰 개통이 가능해진다. 가입자 정보를 담은 유심을 휴대폰 끼우는 방식이 아니라, 휴대폰에 가입자 정보를 내려받아 쓰는 방식이다. 유심 배송 과정이 없기 때문에 더 빠르고 편하게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e심 서비스 덕분에 기존 유심과 e심을 함께 사용하는 이른바 '듀얼심'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휴대폰 하나로 두개의 번호를 사용하는 이른바 '원폰 투넘버'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9월1일 e심 서비스 개시에 맞춰 이용자들이 궁금해 할만한 내용은 QA 형태로 정리한다.
Q e심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나.
A e심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필요하다. 현재 삼성전자의 갤럭시Z폴드4와 갤럭시Z플립4가 e심을 지원한다. 기존 삼성전자의 단말에서는 e심을 사용할 수 없다. 애플의 아이폰은 지난 2018년 출시된 아이폰XS부터 e심을 지원하고 있다. 아이폰XS 이후 출시된 아이폰은 e심을 이용할 수 있다.
Q e심은 어떻게 이용하나. 앱을 설치해야 하는건가.
A 따로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e심을 지원하는 단말기라면 통신사로부터 문자나 메일 등으로 전달받은 QR코드를 스캔해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받기만 하면 된다.
Q e심 비용은 얼마인가.
A 유심은 7700원이고, e심은 다운로드 비용 2750원이 든다. e심이 더 저렴하지만, 유심은 기기변경을 할때 기존 유심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e심은 기기변경을 해도 다시 가입자 정보를 내려받아야 한다. e심 서비스 시작을 기념해 올해까지 통신사들은 프로모션으로 e심 첫 다운로드 비용을 받지 않기로 했다.
Q 유심과 e심은 같은 통신사에서 개통해야 하나.
A 아니다. 유심은 SK텔레콤으로 e심은 KT로 개통할 수 있다. 알뜰폰도 마찬가지다. 통신사 유통망에서 해당 사업자의 요금제에 가입하고 유심이나 e심을 개통하면 된다.
Q 해외 e심이나 유심도 사용 가능한가.
A 가능하다. 한 단말기에 국내 통신사 유심과 해외 통신사 e심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해외 통신사 유심과 국내 통신사 e심을 사용할수도 있다.
Q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앱도 각기 다른 번호로 이용할 수 있나.
A 삼성전자의 단말에서는 가능하다. 하지만 아이폰에서는 듀얼메신저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Q 공시지원금은 어떻게 받을 수 있나.
A 공시지원금은 단말을 사는 것에 대한 지원금이다. 단말을 새로 산다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지만 유심이나 e심 하나만 골라서 받을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선택약정할인을 받을 수 있다. 양쪽 모두 선택약정할인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Q 듀얼심을 위한 전용 요금제가 있나.
A KT가 듀얼심 고객을 위한 '듀얼번호' 요금제를 내놨다. 월 8800원에 두번쨰 번호용 데이터 1GB를 제공하고, 데이터 소진 시 최대 400kbls 속도로 무제한 이용 가능한 요금제다. 다른 통신사도 듀얼심 요금제를 내놓을 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정부, e심 활성화 소매 걷었다...내년 9월 1일부터 시행
- [글로벌] 아이폰15에는 유심침 없다? 애플, 2023년 e심만 있는 아이폰 출시할 듯
- "특화요금제부터 e심 도입까지" 올해 알뜰폰 가입자, 증가 속도 붙을까
- 올 하반기 e심 도입 본격화...차기 삼성전자 스마트폰 e심 탑재될까
- KT, 'e심' 도입 맞아 '원폰 투넘버' 듀얼번호 서비스 출시
- SK텔레콤, 30만원대 가성비 5G폰 '갤럭시와이드6' 단독 출시
- KT·DL이앤씨, '디지털 트윈' 맞손..."사이버 모델하우스 개발"
- SK텔레콤도 '듀얼심' 위한 요금제 출시...통신3사 모두 8800원에 듀얼심 쓴다
- KT, 듀얼 상품 가입자 23만 돌파..."연내 50만 이용자 돌파 예상"
- 전운 감도는 통신 시장…'혁신의 메기' 토스, 데이터 '페이백' 앞세워 출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