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연결'을 통해 사용자의 집 안 풍경과 라이프 스타일을 혁신적으로 바꾸는 도전에 나선다. 가전과 모바일 기기 등 수많은 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사용자는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캄 테크'가 그 주인공이다.
한종희 회장 "캄 테크 시대 큰 자부심"
12일 한종희 삼성전자 DX부문장(부회장)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SDC) 2022' 기조연설을 통해 이 같은 캄 테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 부회장은 "전 세계의 창의적인 개발자들과 협력해 수많은 기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캄 테크' 시대에 성큼 다가가게 되어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삼성전자의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통해 세상이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고 고객의 삶이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해 질 수 있도록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 날 한 회장은 기조 연설을 통해 ▲사용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공통 플랫폼과 혁신 서비스 ▲스마트 TV∙가전, 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한 제품 경험 확대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R&D)과 오픈 협력 방안 등을 전 세계 개발자들에게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 스마트폰과 TV 시장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5G 네트워크, 지능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의 선도 기술을 보유한 거의 유일한 회사다. 이런 역량을 기반으로 외부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기기 간 연결을 극대화하는 게 삼성전자의 새로운 비전이다.
캄 테크 시대 여는 '스마트싱스-빅스비-녹스'
이날 삼성전자는 캄 테크 구현을 위한 '스마트싱스', '빅스비', 삼성 녹스' 등 다양한 혁신 기술과 플랫폼 강화 방안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를 통해 삼성의 제품과 서비스는 물론 300여개 브랜드의 다양한 기기까지 모두 연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스마트싱스에 업계 최신 사물인터넷(IoT) 통신규격인 '매터(Matter)'를 적용해 파트너사를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수백만의 호환 기기들이 더 쉽게 연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구글과 협력해 매터가 적용된 디바이스를 향후 '구글 홈'에서도 연동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대표적인 음성 지원 플랫폼인 '빅스비'는 '스마트싱스'와의 연계를 보다 더 강화하고, 디바이스 자체에 탑재된 AI 솔루션을 통해 개발자들에게 똑똑한 음성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삼성전자는 '빅스비 홈 스튜디오' 개발 툴도 선보였다. 개발자들은 사용자가 "TV에서 영화 보여줘"라고 말하면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TV, 사운드바, 조명 등 모든 기기들이 한번에 동시에 최적화 돼 작동되는 '스마트 홈(Smart Home)' 경험을 빅스비 홈 스튜디오를 통해 제작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더 많은 기기들과 네트워크가 융합되는 스마트 홈(Smart Home)의 보안 강화를 위해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인 '삼성 녹스 매트릭스'도 발표했다. 녹스 매트릭스는 연결된 기기들이 서로가 서로를 보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연결된 모든 기기들이 하나의 커다란 생태계로 규정되고 기기와 네트워크가 통합적으로 보호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사용자 맞춤형으로 진화하는 갤럭시
삼성전자의 모바일 기기는 최신 사용자 경험(UX) '원(One) UI 5'를 통해 한층 진화한다. 원 UI 5는 사용자 개인에 최적화된 모바일 경험을 위해 맞춤 설정 기능을 강화하고 생산성과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업그레이드 했다.
원 UI 5는 '모드 및 루틴(Modes and Routines)' 메뉴를 새롭게 추가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의 생활 패턴에 더욱 향상된 맞춤 설정 기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 모드'를 선택하면 달리기나 수영 등을 할 때 모든 알람이 차단되고 보다 운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잠금 화면의 설정 기능도 향상되었다. 비디오를 월페이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잠금 화면에서 손쉽게 시계 및 알람 스타일까지 변경 가능하다. 또 '다이나믹 잠금 화면' 기능을 활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갤러리에서 자유롭게 선택해 본인의 개성에 맞는 잠금 화면을 꾸밀 수 있다.
삼성전자는 '텍스트로 전화 받기(Bixby Text Call)' 기능도 새롭게 선보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있을 경우 발신자의 목소리가 수신자에게 문자로 변환돼 전송되며, 이를 보고 사용자가 문자로 답할 경우 빅스비가 대신해 상대방에게 목소리로 전달하는 기능이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갤럭시는 건강 지킴이"…삼성전자, 헬스케어 서비스 확장 박차
- 新 스마트홈 보안 패러다임 띄우는 삼성전자, SDC22서 '삼성 녹스 매트릭스' 공개
- 삼성전자 '더 프리스타일' 헬리녹스 한정판 패키지 1차 판매 완판
- 삼성전자 이인용 사장, 남아프리카 국제협력부장관 만나 부산엑스포 유치 협력 요청
- "ESG도 초격차" 삼성전자, 해외 840여개 협력사 제품 화학물질 관리 교육
- 직접 느끼는 연결 혁신…삼성전자 'SDC 2022' 맞아 '갤럭시 체험관' 운영
- 실리콘밸리 달군 삼성의 '미래 혁신'…'테크 포럼 2022' 통해 기술 비전 공유
- 삼성전자, 유연근무공간 '딜라이트' 운영…"시간·장소 구애 받지 않고 업무 집중"
- 이재용 부회장, 13년 만에 '2022 국제기능올림픽' 참석…'기술인재' 중요성 강조
- 태국 방콕 중심가 달리는 삼성전자 '갤럭시 Z 플립4'
- 삼성 갤럭시 '폴더블폰 효과' 톡톡…MX부문 매출 13%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