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컬쳐 장인으로 통하는 김형태 대표의 시프트업이 신작 니케: 승리의 여신 덕에 글로벌 메이저 게임개발사로 도약했다.
13일 시장 조사 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시프트업의 '니케: 승리의 여신'(니케)가 출시 한달만에 매출 1억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1월 4일 출시된 '니케'는 시프트업이 개발하고 텐센트의 해외 퍼블리싱 브랜드 레벨 인피니트가 서비스를 맡아 주목을 받았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니케는 출시 후 전 세계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게임 카테고리 다운로드 랭킹 5위, 한국 시장에서는 1위에 오를 정도로 흥행에 성공했다.
덕분에 출시 한 달 만의 1억 달러 매출을 달성했다. 11월 4일부터 12월 3일까지 집계된 전 세계 양대 마켓 모바일 게임 수익 순위에서 4위에 올랐고, 이는 텐센트의 대표 퍼블리싱 게임인 '왕자영요'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출시 1달 수익을 넘어선 수치다. 글로벌 히트작으로 완연히 도약한 셈.
실제 '왕자영요'는 지난 2016년 출시 이후 한 달간 1000만달러(한화 130억원)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2017년 출시 후 300만 달러(한화 39억 원)의 수익을 1달 동안 벌어들인 바 있다.
국가별 매출 데이터를 살피면 한국 시장에서 '니케'는 전 세계 매출의 27%에 해당하는 3000만 달러(한화 392억원) 이상의 수익을 달성했다. '니케' 출시 1달 기준으로 따질 경우 카카오게임즈의 '오딘: 발할라 라이징'이나 엔씨소프트의 '리니지2M'을 넘어서는 수치다.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국가는 일본이다. 센서타워 자료에 따르면 '니케'는 일본 시장에서 약 5000만 달러(한화 65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미국 시장의 비중은 일본과 한국 다음인 15.2%다. 센서타워는 "지난 몇 년간 국내 개발사가 개발한 게임으로서 해외 시장에서 최고의 성과를 내고 있는 게임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니케는 퍼블리셔 텐센트의 전 세계 모바일 앱 수익에 대한 시장 점유율에도 변화를 줬다. 니케 출시 이전 텐센트의 수익 비중은 중국 시장이 89.4%로 독보적이었으나. 니케 출시 후 이전보다 12.5% 줄어들어 76.9%를 차지했다. 반면, 일본, 한국, 미국 시장은 모두 성장하여 각각 7.6%(6.2% 성장), 4.4%(3.9% 성장), 4.4%(1.9% 성장)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김형태가 돌아왔다 '승리의 여신: 니케' 출시...데스티니 차일드 영광 이을까
- 돌풍의 '니케', 아시아를 휩쓸다...한국-일본 앱스토어 매출 1위 '석권'
- '일매출만 40억원?' 앱 마켓 매출 순위 휩쓴 '승리의 여신: 니케'...장기흥행 가능할까
- 파죽지세 '니케', 구글 매출 순위 2위 등극...장기흥행 기대감 UP
- '승리의 여신: 니케' 구글 매출 1위...김형태표 서브컬쳐 또 한번 일냈다
- [미리보는 지스타] '니케'의 '니케'에 의한 '니케'를 위한...레벨 인피니트의 지스타
- 韓 모바일게임은 결국 다시 '리니지'...니케 3위로 밀렸다
- 쏟아지는 게임사 연말 업데이트, 성수기 맞은 MMO '활짝'...엔씨 매출순위 점령 '눈길'
- [이프 카카오] "돈 주고 볼 행사네" 판교 IT 개발자들, 카카오에 반했다(종합)
- [템터뷰] "日 국민 배달앱 '데마에칸'...1위 비결은 라인의 '메시징 허브'"
- 오딘 이어 우마무스메까지 반등...제왕 자리 되찾은 카카오게임즈
- '리니지W' 잡은 우마무스메, 韓 매출 3위로 껑충...카카오게임즈, 엔씨 독주 막았다
- [테크M 이슈] 中 '텐센트' 모멘텀 키우는 넷마블...제2의 나라에 쏠린 눈
- 시프트업, 상장 대표 주관사로 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