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서울교통공사와 도심항공교통(UAM) 복합 환승 센터 조성과 UAM 조기 상용화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UAM은 도심 내 3차원 공중 교통체계를 활용한 항공운송 생태계다. 도심에서의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한 미래형 에어택시를 의미한다. 전기 수직 이착륙(eVTOL)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PAV)와 결합해 승객이나 화물 운송을 목적으로 운용될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지하철 교통 인프라를 활용해 미래 지향적인 UAM 복합 환승 센터를 구축하고 UAM 조기 상용화를 위해 협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통공사는 복합 환승 센터 도입을 위한 제도 등 행정사항과 수직 이착륙 비행장(버티포트) 인프라를 지원하고, LG유플러스는 노선 운영을 위한 교통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UAM 제반 통신 기술 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복합 환승 센터는 삼성역, 수서역, 구로디지털단지 등과 같이 지하철, GTX, 버스 등 교통 이용객이 많은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현재 서울교통공사는 1~8호선 도시철도에 275개 역사를 보유 중이다.
복합 환승 센터 도입 관련 실증과 함께 양사는 UAM 실현 가능성, 기술의 안전성, 지역 주민의 수용성 등 비행환경 조사는 물론 비행 경로에 따른 기상조건, 비행 장애물 등 환경적 요소에 대한 사전 연구를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5월 카카오모빌리티와 GS건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국토교통부 주최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어 7월에는 부산시와도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전국 UAM 사업 선점을 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우선적으로 UAM 교통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정부 실증사업에 적용하고, 향후 UAM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시스템 고도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Lab장(담당)은 "정부 주도의 UAM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초기 시장을 만들어가는데 서울교통공사와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컨소시엄 참여사들과도 협력을 지속해 안전하고 이용하기 쉬운 미래 교통 인프라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국토교통부는 2040년까지 국내 UAM 시장 규모가 13조원, 생산유발효과 23조원, 부가가치는 11조원에 이르고 일자리 창출만 16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세계 시장 성장성을 더 크게 보고 2040년까지 글로벌 UAM 시장이 1조5000억달러(약 1816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미래 모빌리티 혁신 위해 KT-한국교통안전공단 손 잡는다
- [CES 2023] 유영상 SKT, AI 초협력 광폭 행보..."글로벌 톱 AI 컴퍼니 도약"
- CES서 경영진 회동 가진 SKT, 조비 에비에이션과 한국형 UAM 상용화 나선다
- 전운 감도는 UAM 시장…통신3사, 하늘두고 '진검승부' 예고
- "구독자에 아이패드 등 선물" LG유플러스, 'U+뉴스' 구독 이벤트 진행
- "어르신들 식사 문제 해결" LG유플러스, 설 앞두고 젓갈 선물 세트 127개 전달
- 스포츠 팬들 끌어안은 LG유플러스…통합 플랫폼 '스포키', 3달만에 520만명 찾았다
- "춘식이가 올바른 금융습관 만들어준다"...LG유플러스, 'U+키즈폰 with 춘식이' 출시
- 카카오모빌리티-LG유플러스 참여하는 UAM 컨소시엄, 2023 드론쇼코리아 참가
- 통신3사, 국토부 UAM 실증사업에 모두 참여...'하늘길 경쟁' 본격 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