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23울트라에 적용된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 부품 /사진=삼성전자 제공
갤럭시 S23울트라에 적용된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 부품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공개한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3' 시리즈는 강력한 성능과 더불어 지구와 환경을 생각하는 '그린 혁신'이 눈길을 끌고 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제품은 다양한 파트너와의 개방적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종류의 재활용 소재를 개발, 제품에 적용했다. 갤럭시 S23 울트라 모델에는 총 12개의 재활용 소재 적용 부품이 사용됐으며, 갤럭시 S23 플러스(+)와 갤럭시 S23에는 각각 11개가 적용됐다.

특히 갤럭시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외장 부품에도 재활용 소재가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출시 한 갤럭시 S22의 경우 총 6개의 내장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이 적용된 바 있으며, 특히 폐어망을 재활용한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한 점이 눈에 띄었다. 

갤럭시 S23 울트라는 전작에서 사용했던 폐어망∙폐생수통의 재활용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 폐페트(PET)병을 재활용한 플라스틱 ▲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을 재활용한 알루미늄 ▲ 공정 중 발생하는 파유리를 재활용한 글라스를 새롭게 개발해 추가 적용했다.

폐어망 재활용 소재를 20% 사용해 만든 재활용 플라스틱(PA)은 내부 S펜 커버, 하단 스피커 모듈 등에 적용됐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2023년 한해 동안 약 15톤 이상의 폐어망을 수거하여 재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갤럭시 S23울트라에 적용된 폐생수통 재활용 플라스틱 부품 /사진=삼성전자 제공
갤럭시 S23울트라에 적용된 폐생수통 재활용 플라스틱 부품 /사진=삼성전자 제공

폐생수통 재활용 소재를 20% 사용해 만든 재활용 플라스틱(PC)은 상단∙하단 스피커 모듈, 사이드키, 볼륨키에 적용됐다. 또 폐페트병 재활용 소재를 10% 사용해 만든 재활용 플라스틱(PBT)은 외장 케이스 프론트에 사용됐다. 동일 소재를 80% 사용해 만든 필름은 제품 후면의 글라스 내부에 사용됐다.

공정 중 발생하는 알루미늄 부산물을 28% 사용해 만든 재활용 알루미늄은 제품 측면의 사이드키, 볼륨키, SIM 카드 트레이에 적용됐다. 또한 공정 중 발생하는 유리 부산물을 재활용 한 소재가 평균 22% 포함 된 글라스는 제품 전·후면 외장 글라스에 사용됐다. 이 글라스는 뛰어난 내구성을 가진 코닝의 최신 고릴라 글라스 제품 '코닝 고릴라 글라스 빅투스 2'로, 갤럭시 S23 시리즈에 최초로 적용됐다.

삼성전자는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부품이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고 있다"며 "부품과 원자재의 철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관리 체계를 운영하고 제품 내 유해 물질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갤럭시 S23 시리즈의 패키지 박스 제작에 사용되는 종이는 100% 재활용 종이를 사용했다. 특히 제품 전·후면에 부착되던 플라스틱 필름을 100% 재활용 종이로 변경했다. 삼성전자는 2025년까지 모든 갤럭시 제품의 패키지에서 일회성 플라스틱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갤럭시 S23울트라에 적용된 재활용 소재 부품들 /사진=삼성전자 제공
갤럭시 S23울트라에 적용된 재활용 소재 부품들 /사진=삼성전자 제공

갤럭시 S23 시리즈는 미국 환경인증기관 UL의 에코로고(ECOLOGO) 인증을 획득했다. 스마트폰의 제조부터 폐기에 이르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이 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부여하는 친환경 인증이다. 또 영국의 비영리 인증기관인 카본 트러스트의 탄소 발자국을 인증도 획득했다. 이는 갤럭시 S23 제품의 생산·유통·사용·폐기 에 이르는 제품 생애 주기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탄소 발자국 산정 국제 표준(PAS 2050)에 따라 산정했음을 인증 받은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