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비전(Vision) AI' 기술로 로봇 움직임을 제어하고 인공지능(AI)으로 영상을 실시간 분석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AI로봇키트'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로봇에 부착하는 키트 형태 제품 출시는 업계 처음이다. 컴퓨터, 전후방 카메라, 5G모뎀, 스피커·마이크 등으로 구성된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됐다. AI로봇키트는 전후방 카메라 영상을 고화질로 전송해 AI영상분석에 따른 로봇 임무 수행과 원격제어를 지원한다. 현재 시판중인 보행로봇 개발사들은 대부분 원활한 로봇 움직임과 같은 하드웨어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또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가 어려워 확산이 더딘 상황이다.
SKT가 출시한 AI로봇키트 장점은 크게 세가지다. 먼저 소형 키트 제품으로 기존 로봇에 장착해 관리자가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의 풀HD급 고화질 AI영상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로봇과의 연동기능은 가성비 제품으로 인기가 높은 '유니트리(Unitree)' 로봇에 우선 적용했다. 그 외 소프트웨어 개발키트(SDK)를 제공하는 타사 로봇들도 고객사 요청에 따라 연동할 계획이다.
두번째로 세계적 유명 로봇 패키지 대비 가성비가 높다. 해외 유명 제품의 경우 고가 로봇에 관제기능이 포함된 SW까지 구매시 2억원 이상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KT가 판매하는 4족 보행 로봇 전문업체 유니트리 '고 1 EDU' 제품과 AI로봇키트 패키지는 약 4000만원 이내에 구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 보행로봇을 화재 예방, 유해가스 감지, 실내공간 3D 측정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SKT AI로봇키트 영상관제 시스템은 AI로봇키트를 부착한 보행로봇, 관제 서버 및 AI영상관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AI로봇키트에 최적화된 고성능 유해가스감지기, 열화상 카메라, 실내공간 3차원 정밀 측정(3D Mapping) 프로그램이 탑재돼있다. 고객은 필요한 기능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시 중요한 드론과 로봇 협업 측면에서도 AI로봇키트 시스템으로 영상관제 시스템 하나에서 드론과 로봇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 로봇도 동시에 제어 가능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SKT는 AI로봇키트와 유니트리 로봇 패키지를 오는 23일부터 3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드론쇼 코리아 2023'에서 공개할 계획이다. 향후에는 다양한 프로모션과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을 통해 로봇키트 보급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국내 대형 카페 운영사와 프랜차이즈형 로봇상품을 기획하는 등 다양한 사업 협력을 통해 향후 5년내에 국내 커피로봇 시장에서 선두 업체로 올라선다는 계획이다.
최낙훈 SKT 인더스트리 AIX CO 담당은 "고객사에서 필요로 하지만 로봇제조사는 대응하기 어려운 AI기반 응용 솔루션과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향점"이라며 "개인은 물론 기업 고객들의 편의와 생산성을 높여주고 즐거운 경험까지 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팀 스튜디오' 꾸린 SKT, 버추얼 콘텐츠 제작 교육 나선다
- "초당 1경7100조번 연산"…SKT '에이닷', 2배 강력한 두뇌 달았다
- SK텔레콤 고객 3200여명, 지난해 T멤버십으로 100만원 이상 혜택 봤다
- SK텔레콤, 통신데이터에 AI 더해 교통혼잡 해결한다
- "보안성·효율성 다 잡았다" SKT, MWC23서 차세대 '양자암호원칩' 공개
- SKT, 퀄컴·인티그리트와 개방형 로보틱스 플랫폼 개발…"MWC서 선보인다"
- SKT, NTT도코모와 5G·6G 기술 백서 발간…"6G 시장 공동 개척"
- "친구와 지인에게 선물하세요"…SKT, 'T우주 선물하기' 서비스 정식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