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원천 지식재산권(IP)으로 부상하고 있는 웹툰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업계에서 나왔다.
서범강 한국웹툰산업협회장은 19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웹툰 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과 육성 전략' 세미나에서 "웹툰 산업은 플랫폼 경제화가 이뤄지고 있다"라며 "장르 차별화를 통해 K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로 나가기 위해선 정부가 직접 나설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작품의 기록, 보존, 분석 등의 기반이 되는 웹툰표준식별체계를 갖추고 국제 표준으로 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현재 문화체육관광부가 개정 중인 표준계약서에 관해서 "작가와 웹툰 기업 모두가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균형적이고 공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또 글로벌 진출을 위한 번역 인력 양성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서 회장은 "웹툰에 특화된 번역 전문가의 수는 제한돼있고, 이를 채용하거나 계약을 통해서 진행을 해야하는데 해결해야하는 방법에 있어서 아직 여러 장벽이 존재한다"라며 "번역 지원과 전문가 육성을 통해 환경을 만들어야한다"고 말했다.
웹툰 산업 성장을 위한 키워드로 '균형'과 '상승'을 강조했다. 서 회장은 "웹툰 산업은 국내를 넘어 해외로 진출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도래했다"라며 "글로벌 웹툰의 확장과 성장에 있어 가장 최전선에 맞닿아 개척하고 투자하며 경쟁하는 웹툰 기업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웹툰 기업 지원도 강조했다. 서 회장은 "웹툰 기업은 창작자 환경 개선과 성과에 따른 적절한 보상의 중요성을 이미 인지하고 있다"라며 "웹툰 기업이 좀 더 잘 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식이 있다"고 했다. 이어 "별도 창구 개설을 통해 중소 업체의 글로벌 진출 루트를 확보해줘야 한다"고 전했다.
'웹툰 클러스터' 구축도 거론됐다. 서 회장은 "공공기관이 직접 생산자가 되거나 중간 소비자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웹툰 클러스터를 추진하고 있는 대전광역시의 사례가 집중 소개됐다. 박성규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팀장은 "글로벌 유통 플랫폼의 무한 경쟁으로 민간의 자유로운 웹툰 제작 환경이 제한되고 있다"라며 "일반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웹툰의 장르적 표준화도 문제"라고 언급했다.
대전시는 웹툰 지식재산 첨단 클러스터 구축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비 15억원을 내년 국비에 반영해달라고 건의했다. 이 사업은 2027년까지 대전 동구 중동에 지하 3층~지상 6층, 연면적 8016㎡ 규모로 웹툰 기업육성 및 창작자 지원 클러스터 시설을 구축하기 위해 시행된다.
총사업비는 435억원이며, 국비 43.4%·지방비 56.6% 비율로 충당한다. 대전시는 클러스터 조성으로 대전이 충청권의 웹툰 산업을 주도하고, K-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밑그림을 그린다. 박 팀장은 "과학기술과 웹툰이 융합된 웹툰 지식재산권(IP) 생산 단지를 대전에 조성할 수 있다"고 했다.
대전시는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킹덤', '스위트홈'을 촬영한 스튜디오큐브 ▲드라마 '지리산', '더맨션' 등을 촬영한 대전액션영상센터 등 영상화 스튜디오도 여럿 있다. 웹툰-영화·드라마로 이어지는 원소스멀티유즈(OSMU)로 산업을 키우기에 최적의 지리적 조건을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박 팀장은 "웹툰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어려움을 해결하는 지원사업도 운영하고자 한다"라며 "(웹툰 클러스터) 입주기업 간 협업 제작 및 IP 사업화 비즈니스를 활성화해 차별화된 지원으로 경쟁력을 갖추겠다. 제작 기획부터 후반 작업까지 '원스톱'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