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 리서치센터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승인되면 기관투자자 자금 유입이 촉진될거란 분석을 내놨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는 올해 2분기 기관투자자 자금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비트코인과 동일한 투자 효과를 내기 위해서 전통 금융 자산 형태로 만들어진 비트코인 래퍼(Wrapper)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비트코인 선물 시장 ▲크립토 펀드 운용 자금 규모 ▲기관투자자 지원 사업 현황까지 4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기관투자자의 동향을 파악했다.
지난 2분기 분석 결과 단기성 자금이 올해 최대 규모로 들어온 것을 비롯해 장기성 자금도 회복세를 보였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비트코인 현물 ETF가 미국 증시에 상장될 가능성이 커진 만큼 실제로 현물 ETF가 출시되면 최소 200억 달러가 유입되면서 기관 자금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단기성 기관투자자 자금 유입이 크게 늘었다.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을 비롯해 미국 대형 금융사들이 투자해 만든 가상자산 거래소인 EDXM의 거래 개시 소식, 리플 소송 판결 등 여러 호재가 반영돼 비트코인 래퍼 자금은 올해 들어 최대 규모로 유입됐다. 8월 둘째 주 기준 비트코인 래퍼 자금의 총 운용 자산은 지난 1월 첫째 주 대비 66% 늘었다.
선물 시장 지표도 크게 개선됐다. 분석 기간에 CME 선물 시장은 상품의 선물 가격이 만기 시 계약의 예상 현물 가격보다 비싸지거나 결제월이 멀어질수록 선물 가격이 높아지는 현상인 '콘탱고(contango)'가 확대됐고 CME 미체결 약정이 급증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 이후 비트코인 선물 ETF에 상당한 자금이 유입되면서 이 자금이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잡으며 미체결 약정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가격을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는 셈이다.
장기성 기관투자자 자금도 민간자금 조달 시장을 중심으로 서서히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크립토 펀드 운용 자금 규모는 전 분기 대비 약 19% 커지며 6분기 만에 상승했다. 가상자산 업계 벤처 투자 시장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활력을 되찾기 시작한 것과 맞물린다.
한편 FTX 사태, 실버게이트 및 시그니처뱅크 파산으로 마켓메이커(MM)의 활동이 줄면서 코인베이스 내 기관투자자의 거래량 비중은 감소했다. 그런데도 기관 전용 커스터디 및 거래 플랫폼인 코인베이스 프라임의 거래량은 계속 늘고 있다.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거래량 위축과 관계 없이 가상자산 시장에 대해 꾸준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라고 코빗 리서치센터는 분석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올해 상반기 기관투자자 자금 유입 트렌드가 하반기에도 이어지면 올해 안에 미국 증시에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특히 지난 6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신청한 시점은 그레이스케일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소송과 관련이 있다고 봤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블랙록이 해당 소송 결과를 예측하면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최근 미국 법원은 SEC가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거부한 것은 행정절차법 위반이라고 판결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이번 판결로 SEC가 비트코인 ETF의 현물과 선물 시장을 구분 짓는 논리가 충분하지 못한 것임을 확인한 셈이어서 향후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봤다. 만약 실제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출시 후 1년 이내에 약 200억달러 규모의 자금이 시장에 들어올 것으로 예측했다.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1990년대 ETF 대중화로 제도권의 투자 대상이 확대되면서 금이나 원유와 같은 비금융권 자산이 대체 투자자산으로 부각됐다"며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기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미국 증시에 상장된다면 가상자산의 제도권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가상자산 업계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STO 보고서 발간한 코빗 리서치센터...'엑스플라', 증권성 지수 높은 코인으로 꼽혀
- "SVB 사태, 결국 미국 금리인상 때문...스테이블코인엔 기회"...코빗 리서치센터
- 코인 거래소 코빗 "이더리움 샤펠라 업그레이드, 매물 출회 영향 無"
- 빗썸경제연구소 마지막 보고서..."리플, 소송 결과 관계없이 계속 거래될 수 있어"
- 코빗, ISMS-P 및 ISO 4종 인증 유지 사후 심사 통과
- [크립토 주간 브리핑] 'KBW 빔'은 없었다...비트코인도 토종코인도 횡보
- 코빗, SK플래닛과 '자라섬재즈페스티벌' NFT 판매
- "최적화 규제로 개입 최소화해야"...코빗 리서치센터, 크립토맘 '헤스터 퍼스' SEC 위원 만났다
- 비밀번호 필요없다...코빗, 로그인·회원가입 방식 전면 개편
- 비트코인 가격 '출렁'...美 SEC 블랙록 BTC 현물 ETF 승인 여부에 관심
- 비트코인 현물 ETF 기대감 '절정'...블랙록 IBTC 티커 추가에 비트코인 4600만원 돌파
- 진짜 '불장' 시작인가...6000만원 돌파한 비트코인, 현물 ETF-반감기로 '순풍'
- 구글도 내년부터 '가상자산 코인 신탁 상품' 광고 허용한다...제도권 편입 기대감 'UP'
- 코빗 리서치센터 "내년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올해보다 3배 이상 커진다"
- '현물 ETF' 결정 D-1...승인 이후 비트코인 가격 행방은
- 코빗 리서치센터, 메사리 리포트 번역본 발간..."AI, 가상자산에 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