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대한민국 초거대 AI도약' 행사 개최
정부가 내년 9090억원을 투입해 전 국민 AI 일상화를 추진한다. 국민 누구나 AI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지난해 '뉴욕구상' 등을 통해 선언한 디지털 질서의 기본 방향으로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AI서비스도 나올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한민국 초거대 AI 도약' 행사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는 챗GPT에 대응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을 축하하고 경쟁력 강화와 인공지능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민관이 함께 마련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디지털 모범국가를 향한 ‘대한민국 AI 도약방안'을 발표했다. 인공지능의 국제협력을 확대하고 인공지능 윤리·신뢰성을 확보해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내년부터 미국・캐나다・EU 등의 선도대학과 글로벌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인공지능 공동랩 구축 및 석박사급 파견을 통한 전문 양성을 새롭게 추진한다.
국민 편의를 향상하고, 산업 육성을 견인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내년 909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관계부처와 함께 국민일상, 산업현장, 공공행정 등 국가 전방위적으로 인공지능을 확산해 인공지능 혜택을 공유하고 디지털 모범국가의 탄탄한 기초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디지털 질서·규범의 기본 방향인 디지털 권리장전도 수립한다.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를 위한 기본원칙과 그 실현을 위해 보장되어야 할 시민의 권리, 주체별 책무를 규정하며, 사회적 의견도 수렴했다. 이달 중에는 뉴욕구상 1주년을 맞아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하고, UN, OECD 등을 통해 국제사회와 공유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부작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 윤리・신뢰성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종호 장관은 "치열한 디지털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술・산업 경쟁력과 사회적 수용성을 함께 높여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인공지능 윤리・신뢰성 강화 및 디지털 권리장전 수립을 통해 디지털 심화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디지털 규범・질서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AI 기반 미디어 산업 키운다...전략위서 논의
- '국가전략기술육성법' 시행령 의결...과기정통부 "과학기술 주권 확립 본격화"
- 과기정통부 "공공기관 대상 사이버 공격 심화…전략적 대응 할 것"
- 과기정통부, 장애인·고령자 대상 '국민행복 IT 경진대회' 열었다
- 한국, 사이버보안 국제표준회의서 9건 국제표준 승인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융합형 인재 키운다...석·박사 인재 양성
-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신뢰성·품질 대상' 선정한다
- 8월 ICT 수출 160억달러…4월 이후 점진적 완화 추세
- 과기정통부 "대중교통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충족"
- 통신3사, 건설기계 안전사고·통신피해 예방 손 잡았다
- "의료 분야에도 AI를 일상적으로"…과기정통부, 의료·심리상담 AI 확산 추진
- 과기정통부, 학술·연구 분야 민·관 협력해 AI 일상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