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과 버스, KTX 등 대중교통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노출량이 인체보호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중교통의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모두 인체보호기준을 충족했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지난달 11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대중교통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측정결과를 공개하고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문제 제기 당일 대중교통에 대해 검증에 나설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이번 검증은 시민센터에서 측정한 대중교통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국가표준에 따라 정속 주행 상태에서 차량 내의 인체 노출 환경인 바닥, 의자, 입석 위치 등을 고려해 진행됐다.
측정 결과 대중교통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국제적으로 권고된 인체보호기준의 0.25%~8.97% 수준으로 확인됐다. 앞으로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소형가전과 계절 상품, 가전제품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증하고 공개해 전자파에 대한 불안과 우려를 불식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남 충북대 교수는 "시민단체에서 기준으로 언급한 4mG는 일부 소아백혈병 연구에서 노출그룹을 나눌 때 사용한 하나의 조건이었다"라며 "세계보건기구의 권고에 따라 대부분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국제비전리복사보호위원회(ICNIRP)의 기준을 따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공공기관 대상 사이버 공격 심화…전략적 대응 할 것"
- 과기정통부, 장애인·고령자 대상 '국민행복 IT 경진대회' 열었다
- 한국, 사이버보안 국제표준회의서 9건 국제표준 승인
- "전국민 AI시대 만들겠다"…정부, 내년 9090억원 투입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융합형 인재 키운다...석·박사 인재 양성
-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신뢰성·품질 대상' 선정한다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디지털 서비스 안전 현장 점검
- KT, 우크라이나 재선 위해 통신 인프라 구축 나선다
- 정부, 위성통신 시범망 구축…2030년까지 4800억 원 투입
- 과학기술정보통신 사이버안전센터, 나주→세종 이전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