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크래프톤 제공
/ 사진=크래프톤 제공

메타버스 플랫폼 '오버데어'를 띄운 크래프톤이 블록체인 메인넷 '세틀러스'를 개발 중이다. 대체불가능한토큰(NFT) 라이센싱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자체 메인넷을 선택한 것. 창작자를 위한 투명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특수 목적의 블록체인을 만든다는 설명이다. 추후 자체 코인을 발행해 생태계 내 NFT 거래에 사용하고, 생태계 기여자들에게 지급하는 보상은 스테이블코인으로 한다는 계획이다.

15일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크래프톤과 네이버제트의 합작법인(JV) '오버데어'는 블록체인 메인넷 세틀러스를 개발 중이다. 크래프톤은 합작법인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메타버스 플랫폼 오버데어가 세틀러스를 메인넷을 채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연내 소프트 런칭 예정인 오버데어는 이용자가 액션 RPG, 스포츠 게임, 슈터 게임 등 다양한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이용자제작콘텐츠(UGC) 플랫폼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과 언리얼 5 엔진을 채택해 이용자들이 양질의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게임 제작 외에도 아바타 커스터마이징, 채팅 등 다양한 소셜 활동도 가능하다.

특히 오버데어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콘텐츠 창작자가 다양한 저작물을 창작하면, 이용자들이 해당 저작물을 구매하고 소유하는 방식의 크리에이트 투 언(C2E) 시스템을 채택했다. 저작물 거래는 NFT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오버데어는 창작자를 위한 투명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특수 목적의 블록체인 세틀러스 메인넷을 개발 중이다. 

세틀러스 메인넷을 기반으로 한 오버데어 내에선 창작자가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 생태계에 기여하면 미국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의 스테이블코인 USDC로 보상한다. 수익 보상을 변동성이 높은 일반 코인으로 하는 것보단, 스테이블코인으로 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판단에서다. 아울러 자체 메인넷을 출시하는 만큼, 생태계 기축통화로 쓰일 자체 코인도 발행할 예정이다. 자체 코인은 생태게 내 NFT 거래를 위해 쓰일 것으로 보인다. 세틀러스 메인넷은 내년 초 테스트넷이 출시될 예정이다.

더불어 오버데어가 창작자들의 콘텐츠를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구매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것도 가능해 보인다. 올해 크래프톤은 '스케일 업 더 크리에이티브(Scale-up the Creative)' 전략을 채택했다. 이 전략은 크래프톤이 자체 개발 게임과 소수 지분 투자를 통해 크리에이티브를 발굴하고 성장성을 극대화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오버데어에 좋은 IP가 있다면 활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NFT 라이센싱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체 메인넷 개발하고 있다. 메타버스 환경을 만들고 운영하는 것이 오버데어의 1차적인 역할"이리며 "연내 메타버스를 소프트 런칭해 운영하고 추후 정식 론칭 단계에서 세틀러스 메인넷이 적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