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헬스케어는 빅데이터와 AI 등 기술 기반 글로벌 헬스케어 연구 선도를 위해 '연구 협력 네트워크'를 출범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 협력 네트워크는 '개방형 혁신'이라는 원칙에 따라 참여 의지가 있는 병원들은 제약 없이 참여해 데이터와 기술 등을 교류할 수 있다. 또 병원 내 연구, 병원 간 연구, 병원과 기업 간 연구 등 협업의 대상과 형태와 관계 없이 모든 연구에 대해 병원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한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일부 참여 병원들과 올해 초부터 파일럿 연구를 통해 안정성과 보안성을 검증했다. 특히, 병원 밖으로 데이터의 반출 없이 대규모 연합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과 더불어 기존 빅데이터 연구 방식 이상의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하면서 이번 연구 협력 네트워크 출범에 대한 합의를 이뤘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금번 협약을 통해 단기적으론 병원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임상 연구 활성화, 의료 질 개선, 의료 기술 혁신 등 다양한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카카오헬스케어는 기술 기업으로서 구글클라우드 등 글로벌 IT리딩 기업과의 협업을 추진하고, 글로벌 연구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하는 등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카카오헬스케어, 아이센스와 혈당관리 서비스 띄웠다
- 헬스케어 포털 꿈꾸는 카카오...내년 '당뇨 혈당 측정기' 나온다
- SM 인수로 덩치 불린 카카오, 리스크 관리+카톡 고도화로 위기 탈출(종합)
- 경영 최전선에 선 창업주...카카오, 김범수 등판 한달새 안정 찾았다
- 카카오헬스케어,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서 '파스타·프로젝트 델타' 알렸다
- 카카오헬스케어, AI 기반 혈당 관리 서비스 '파스타' 출시..."당뇨병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한다"
- 모바일 혈당 관리 '파스타' 띄운 카카오헬스케어..."실시간 측정과 AI로 당뇨병 관리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