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닷 통역콜 이미지. / 사진=SK텔레콤 제공
에이닷 통역콜 이미지. / 사진=SK텔레콤 제공

 

아이폰에서도 통화 녹음 기능을 제공해 이용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은 '에이닷(A.)'이 외국어 통역 기능을 시작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이용자들이 언어 장벽을 허물고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특히 유영상 SKT 대표가 강조하는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도약도 내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AI기반으로 통화 중에 실시간으로 통역을 해주는 '에이닷 통역콜'을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에이닷 통역콜은 이용자가 전화를 걸 때 다이얼 하단의 통역콜 아이콘을 눌러 활성화할 수 있다.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4개 국어 중 원하는 언어를 선택해 통역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에이닷 이용자가 전화를 걸 때 통역을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수신자와 통화 연결이 되면 바로 "잠시만요, 지금부터 통역을 위해 통화내용이 번역기로 전달됩니다" 라는 내용이 음성으로 안내되는 방식이다. 기존에는 별도의 번역 앱을 이용했지만, 전화 통화 중 실시간으로 통역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처음이다. 

예를 들어 국내 이용자가 해외 호텔을 예약하기 위해 전화를 걸면 영어로 대화할 필요 없이 한국어로 말하면 AI가 자동으로 통역해준다. 반대로 담당자가 영어로 답변해도 한국어로 자동 통역돼 이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를 활용하면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도 한국어 사용으로 인한 불편 없이 외국어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 사진=SK텔레콤 제공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 사진=SK텔레콤 제공

 

에이닷 통역 서비스는 유영상 대표가 집중 추진하고 있는 'AI 피라미드 전략'의 핵심 인프라다. AI 피라미드 전략은 SKT의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서비스를 만들어 고객과 관계를 밀접하게 만들고 AI 얼라이언스 중심의 협력 모델을 피라미드 형태로 묶어내는 전략을 뜻한다. SKT는 에이닷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고도화 해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생태계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통역콜 서비스를 통해 에이닷은 AI개인비서로서의 영역을 더 확장하게 됐다. 유영상 대표는 지난 9월 AI 사업전략 간담회 당시 "1~2년 내 제2차 개인 AI비서 전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AI서비스 경쟁 고도화를 예측한 바 있다. 에이닷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보하고 경쟁에서 앞서나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통역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통신 점유율을 더 확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하는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SKT 5G 가입자는 1515만명으로 전체 3180명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김용훈 SKT AI서비스사업부장은 "에이닷 통역콜 서비스는 통신 기술과 AI가 접목돼 언어 장벽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언어를 확대 지원하는 등 에이닷이 AI 개인비서로 고도화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