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틱톡'이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둔 미국에서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미국 하원이 바이트댄스의 틱톡 매각 또는 미국 내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초당적 법안을 발의했다고 외신들이 지난 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해당 법안은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165일 안에 틱톡을 처분하도록 하고, 이행하지 않으면 틱톡을 불법화하는 게 골자입니다. 미중전략경쟁특위의 마이크 갤러거 위원장 등 의원 20여명이 참여했습니다.
이 법안은 지난 7일 하원 에너지통상위원회 청문회에서 다뤄졌습니다. 갤러거 위원장은 "틱톡이 중국 공산당과 결별하지 않으면 미국인 사용자를 잃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캐시 모리스 에너지통상위원회 위원장은 "(해당 법안은) 중국 등 적대국들이 틱톡 같은 온라인 앱을 통해 미국인을 감시하고 조종하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틱톡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틱톡 대변인은 "이 법안은 미국인 1억7000만명의 수정헌법 1조 권리(표현의 자유)를 짓밟으며, 500만 중소기업이 성장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빼앗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은 "선거가 있는 해에 수정헌법 1조의 권리를 값싼 정치적 문제들과 맞바꾸려는 시도"로 봤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도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7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틱톡을 없앤다면 페이스북과 '얼간이 저커'의 사업이 두배로 성장할 것"이라며 "난 지난 선거에서 사기 행위를 저지른 페이스북이 더 잘되기를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통령 재임 시절 틱톡 금지를 추진한 바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부 의원은 틱톡이 친팔레스타인 및 반이스라엘 콘텐츠를 선호한다고 여기며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를 다시 주장하기 시작했다"고 전했습니다. 조시 홀리 연방 상원의원은 지난해 11월 미국외국인투자위원회(CFIUS)에 서한을 보내 틱톡 사용 금지를 촉구했습니다.
당시 홀리 상원의원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미디어 조직이자 뉴스 공급원으로서 틱톡의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며 "정보 보안 문제와 달리 미국 젊은이들의 세계관을 근본적으로 왜곡할 수 있는 틱톡의 힘에 대해 잘 논의되지 않았다"고 우려했습니다.
과연 미국 내 틱톡 사용이 원천적으로 금지될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틱톡 직원들, 메신저로 사용자 개인정보 주고받았다
- 트위터·스레드 경쟁에 틱톡도 참전...텍스트 전용 기능 띄웠다
- [글로벌] 인스타그램 제친 中 틱톡..."2년 뒤 美 최대 SNS 될 것"
- [글로벌] 틱톡 '틱톡샵' 앞세워 아마존 '정조준'...블랙프라이데이 '맞불'
- [글로벌] "틱톡 사용 금지해야"...美 몬태나주, 법원 결정에 항소
- [글로벌] 틱톡, 스위프트 등 인기가수 음원 제거...유니버설 협상 결렬
- [글로벌] 美서 궁지 몰린 中 틱톡, 사진 공유 앱 개발 나서나
- [글로벌] '틱톡 강제 매각 법안' 미 하원 통과..."미·중 갈등 격화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