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잔=카카오
정신아 카카오 대표/사잔=카카오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을 합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선행 기술 연구를 넘어 카카오 주요 서비스에 빠르게 대입하기 위해, 조직적 결합을 꾀하는 모습이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브레인은 최근 사내 타운홀 미팅을 열고 회사를 카카오 본사 AI 전담 조직과 합치는 방안을 공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해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와 카카오브레인은 급변하는 AI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AI 경쟁력 및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구체적인 사항은 이사회 의결 과정 등을 거쳐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브레인은 자체 생성형 AI 모델인 '코GPT2.0‘를 개발하고 있다. 당초 카카오브레인은 코GPT2.0을 지난해에 공개할 예정이었지만 수차례 연기됐다. 사실 카카오는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에게도 AI 서비스 대중화 측면에서 밀리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거듭된 대내외 리스크 속 AI 서비스 개발에 매진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

다만 정신아 대표 체제를 띄운 이후, 빠르게 내외부 악재를 수습하고 이제 AI 서비스 안착에 공을 들이겠다는 의지다. 실제 카카오는 지난 1일 조직개편을 통해 전사에 흩어져 있던 AI 관련 팀들을 모아 AI 통합 조직을 신설했다. 이 조직의 수장이자 최고AI책임자(CAIO)로 이상호 전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선임했다.

다양한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실험하는 다수의 조직을 만들어, 빠른 실행과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도모하겠다는 것. 특히 업게에선 카카오가 보유한 플랫폼 개발 경험에 최신 기술을 더해 '일상 속 AI' 시대를 열 수 있는 B2C 서비스가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