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서비스 출시에 힘을 싣고 있는 카카오가 AI 전담조직 '카나나'를 신설했다.
11일 카카오에 따르면 카나나는 AI 서비스 전담조직 '카나나 엑스'와 AI 모델 개발 중심 조직 '카나나 알파'로 구성된다. 두 조직은 한 팀처럼 일하며 시너지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이는 카카오브레인 흡수 이후 첫 AI 조직 개편이다. 지난달 1일 카카오브레인 임직원은 카카오에 합류를 완료했다.
카나나 엑스는 이상호 프로덕트 오너(PO)가, 카나나 알파는 김병학 펑션 오너(FO)가 맡는다. 기존의 최고AI책임자(CAIO) 대신 PO, FO로 직책이 변경됐다. 카카오의 조직구조에 따라 서비스, 프로덕트 오너십을 가진 조직의 리더는 프로덕트 오너, 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는 모델 개발 조직의 리더는 펑션 오너를 맡는다는 설명이다.
앞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지난달 주주서한을 통해 "6월에는 카카오브레인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과 핵심 인력들이 카카오에 합류하게 된다"며 "카카오는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AI 서비스에 집중하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카카오, 카카오브레인 품고 AI 서비스 개발 '박차'
- AI에 진심인 네이버·카카오, 서비스 적용 위한 조직 개편 중...수익화 해답 찾을까
- AI 진심인 카카오, '코GPT 2.0' 카카오브레인에 360억원 수혈
- 일상으로 다가오는 AI...'전 국민'이 고객인 네이버·카카오가 AI 서비스 대중화 이끈다
- 네이버·카카오는 1분기 실적 전망도 '맑음'...AI로 수익성 끌어올릴까
- 카카오, 카카오브레인과 조직 통합... AI 서비스 개발 속도 낸다
- 플랫폼·콘텐츠로 빛난 카카오, 1분기 매출 1조9884억원·영업익 1203억원(상보)
- 정신아 체제 카카오, 첫 실적 호조...사업개선·신뢰회복 원년 삼는다(종합)
- 1분기 나란히 웃은 네이버·카카오...서비스 고도화에 AI 더해 '수익성' 개선 나선다
- 정신아 카카오 "이제는 서비스 경쟁...쉬운 AI 서비스 선보일 것"
- 이건복 MS 상무 "생성형 AI는 창작 위한 보조 수단...기술 발전 적응해나가야"
- 생성형 AI 활용 저작권 문제, 다른 나라는 어떻게?..."저작권자·이용자 양측 이해 필요"
- AI 기술, 게임시장 세분화 가속 일조...기반 기술 마련 필요성도
- 김범수 구속에 어깨 무거워진 정신아…누나 리더십 발휘할 때
- AI 담은 카카오톡, 별도 앱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