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함께 '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300명의 참석자가 모인 가운데 지난해 11월 탄녹위 전체회의에서 발표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 후속조치로서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탄녹위 주관)에서 논의된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 총장과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이노베이션센터장은 'AI가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해법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이어 가능성과 한계, 분야별 적용사례 등에 대해 산·학·연 각 분야에서 AI 연구 및 활용을 주도하고 있는 강연자들의 발표 및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발표자들은 AI를 통한 탄소중립 가속화를 실현하기 위해 그동안 추진돼 온 AI·탄소중립 기술개발 실증에 대한 집중 투자, AI 표준 마련 및 AI서비스·스타트업·산업 간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통신과 정유, 제조 등에서 AI를 활용한 탄소감축 노력이 소개됐고, 화재예측과 스마트교차로 등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시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AI 도입 컨설팅 POC 추진사항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특히 AI 활용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저전력·고효율·실용적 생성AI 서비스 전용 반도체 기술개발 및 내재화가 필요하며, 신뢰 가능한 AI 리스크 관리 플랫폼 등 구축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AI 기술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대한 문제인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게임체인저 기술이 될 것"이라며 "오늘 컨퍼런스가 AI를 활용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나온 주요 의견을 기반으로 AI기반 그린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전 산업적 확산방안, 규제 대응을 위해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 및 민관협의회에서 지속 논의하고 후속 방안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레드팀 챌린지' 통해 국민과 생성형AI 취약점 찾는다
- 과기정통부, AI 클라우드 산업 키운다…4차 클라우드 기본계획 수립 착수
- 과기정통부, 와이파이 혼·간섭 없앴다…무선국 주파수 재배치 완료
- 일상 속 AI 만들어나가는 카카오…'칼로' 본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도 엄지 척
- "AI 체험하러 오세요"...삼성-LG, IT전시회서 AI 기술 '대격돌'
- 기술 기업 거듭나는 SKT·KT..."AI로 일상 생활 바꾼다"
- [테크M 이슈] 중저가 스마트폰 라인업 넓히는 통신사…국민 통신비 절감 동참 나선다
- 글로벌 중요성 높아지는 AI…"프라이버시 고민 필요" 한 목소리
- 과기정통부 "일본 총무성의 라인 행정지도는 외교와 별개 사안"
- 과기정통부·개보위, 정책협의회 출범…AI·디지털 정책 추진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