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사 대비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부진하다는 평가를 받는 애플이 수년 전부터 스위스 취리히에서 비밀리에 생성형 AI 모델 연구를 지속해왔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연구인력으로는 구글 출신 인재들이 대거 포진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수년간 애플의 공개채용 자료와 신입 직원 프로필, 전문가들의 연구논문 등을 분석한 결과 구글에서 최소 36명의 AI 인력을 영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습니다.
애플은 지난 2018년 구글의 AI 책임자인 존 지아난드레를 AI 담당 임원으로 영입했습니다. 이후 AI 분야에서 구글 출신 인력을 대거 영입했습니다. 단일 기업 출신으로는 구글이 가장 많으며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 메타 등에서도 인력을 데려왔습니다.
애플은 해당 인력을 스위스 취리히에 구축한 유럽 AI 머신러닝 연구소에서 근무하도록 투입시켰습니다. 애플 AI 팀 대부분이 미국 캘리포니아와 워싱턴주 시애틀 연구소에서 일하지만 취리히의 대규모 연구시설에서도 비밀리에 연구를 진행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위스의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 룩 반 굴 교수는 애플이 가상현실 기술기업 페이스쉬프트와 이미지 인식 회사 패쉬웰 등 현지 AI 스타트업 2개 사를 인수하면서 취리히에 '비전 랩'이라는 연구소를 세웠다고 전했습니다.
비전 랩 직원들은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구동하는 기술을 연구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이 작성한 논문은 텍스트와 이미지 입력을 통합해 질문에 응답하는 첨단 AI 모델에 관한 것입니다.
연구소는 생성형 AI 분야 인재를 구하는 구인 광고도 하고 있지만 이웃들이 연구소 존재조차 모를 정도로 현지에서도 많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애널리스트들에게 "애플이 다양한 AI 기술을 연구해왔고 첨단 기술에 대해 책임감 있게 투자하고 혁신하고 있다"고만 밝히고 이외 정보들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애플이 비밀리에 준비하는 AI를 통해 뒤쳐진 AI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