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AI로 5G와 LTE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고객 체감 품질 분석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2일 밝혔다.
고객 체감 품질 분석 시스템은 무선 신호의 세기와 노이즈 간섭 비율,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 등 하루 10억 건에 달하는 고객 품질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한다. 분석된 정보는 좌표가 있는 데이터로 변환돼 격자 도로 또는 건물 단위로 정리된다.
이 시스템은 2차원(위도와 경도) 품질 분석 시스템을 3차원(위도, 경도, 고도)으로 개선하고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를 활용해 50배 많은 데이터가 수집되도록 개발됐다. MDT는 전국의 기지국에서 좌표 기준 모든 품질 정보를 모으는 기능이다.
고객 체감 품질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면 고객의 생활과 밀접한 백화점, 쇼핑몰, 터미널 등 전국 300만 개 빌딩 내부의 품질을 층과 공간 별로 더욱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지하철의 경우 플랫폼 및 터널 구간의 품질 정보를 노선별로 세밀하게 확인해 개선이 필요한 지점을 시각화해 정확하게 알려준다.
KT는 고객 체감 품질 분석 시스템에 LLM(Large Language Model)을 도입할 예정이다. LLM을 통해 고객 불편을 사전에 예측하고 체감 품질 개선 솔루션을 추천해주는 방향으로 개발하고 있다.
오택균 KT 네트워크운용본부장은 "고객이 실제로 체감하는 품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해 현장 직원들이 고객을 위한 품질개선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며 "고객 불편을 개선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KT SAT, 독일 위성사업자 '리바다'와 협약…차별화된 고객가치 제공
- "일∙가정 양립에 힘쓴 결과"…KT DS,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선정
- [카드뉴스] KT, 안양시와 함께 자율주행버스 '주야로' 시범운행에 나섰다
- PASS 모바일신분증 가입자, 1000만명 넘었다
- 스타트업 찾아 사업 제안한 KT…대기업-벤처·스타트업 협력사례 만든다
- KT 디지털시민 프로젝트, '2024 WSIS Prize'서 정보사회 윤리적 차원 부문 '챔피온' 수상
- "전국 재난에도 인터넷 끊김 없다"…KT, 부산에 인터넷 3센터 구축
- "엄마,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까지"…KT 가족결합, 최대 7명까지 늘린다
- KT, MS 손 잡았다…AI·클라우드 협력해 'AICT 컴퍼니' 도약 본격화
- [테크M 이슈] 김영섭·사티아 나델라 'AI 맞손'…'믿음'은 한 단계 더 진화한다
- KT, 자체 개발 AI 안전 관리 플랫폼 '올 인 세이프티' 그룹사 도입 예정
- KT, 양자내성암호 상용화 준비 완료…이중보안 방식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