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PASS 모바일 신분증 가입자 수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PASS는 ICT규제샌드박스를 통해 2020년 6월 앱에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제공했다. 이후 2022년 11월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를 추가 제공함으로써 모바일신분증 이용자 및 이용처 확산을 선도하고 있다.
PASS 모바일신분증은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재발급 없이도 기존 실물 신분증을 앱에서 촬영하거나 정보를 입력해 본인확인이 가능하다. 특히 3600만명의 PASS앱 가입자 기반과 휴대폰 본인확인에 익숙한 이용자 경험 및 신뢰성 높은 통신사 서비스라는 측면도 가입자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PASS 모바일신분증은 주민센터, 경찰의 운전면허확인, 공직선거 투표장(대선, 총선), 국가자격시험장, 국내 항공 탑승수속 등 공공분야는 민간의 다양한 분야에서 신분확인이나 성인인증 절차에 이용되고 있다. 또 이용처에서는 보안화 된 QR 검증 방식을 통해 신분증 유효성과 이름 ∙ 주민번호∙ 주소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신분확인 절차의 편의성이 강화됐다.
통신3사는 "앞으로 통신 대리점에 방문하는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유·무선 가입·변경 업무와 더불어 번호이동 업무에도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며 "PASS 모바일신분증 1000만명 가입자 규모에 걸맞게 온·오프라인 이용처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신분증, 탑승권 없어도 통신3사 '패스' 앱 하나면 국내선 비행기 'OK'
- 이통3사 '패스 모바일 운전면허'에서 주민번호 확인 가능해진다
- "미성년자 위조 신분증 잡아라"통신3사, 패스 앱에서 성인여부 확인한다
- 스마트폰으로 항공기 탄다…통신3사·대한항공, 'PASS 스마트항공권' 제휴
- LG유플러스, 축산업 출사표…AI 양계 솔루션 개발 완료
- 스타트업 찾아 사업 제안한 KT…대기업-벤처·스타트업 협력사례 만든다
- "역대급 멤버십 혜택 쏜다"…SKT, 6월 T멤버십 할인률·당첨혜택 높였다
- KT, AI로 고객 품질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도입
- "노인층 스마트폰 고립 해결"…SKT, 소외계층 정보불균형 해소 나섰다
- "5G 요금제 2만원 시대열렸다"…LG유플러스, '너겟' 개편해 세분화
- LG유플러스, 'U+AD'에 AI 탑재…광고 성과 분석 기능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