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생성형 AI '익시젠'을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연내 지속적으로 익시젠을 고도화해 NW 업무 에이전트, 챗 에이전트, 모바일 매장 어드바이저 등 8개 AI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이다.
익시젠은 LG유플러스 고유의 기술로써, 다양한 산업 영역에 적용돼 기존 AI 보다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생성형 AI다. LG AI연구원의 '엑사원'을 기반으로 통신·플랫폼 데이터를 학습시킨 소형언어모델(sLLM)이다.
익시젠의 가장 큰 특징은 가볍고 빠르게 AI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적용은 쉬운 최적의 효율을 찾음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생성형 AI 기반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익시젠은 통신 영역에 대한 지식 학습과 데이터 학습을 순차적으로 진행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파인튜닝'에 걸리는 시간을 대폭 줄였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를 통신 서비스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생성형 AI 활용을 원하는 기업(B2B 고객) 입장에서는 특정 산업에 대한 지식을 익시젠에 추가로 학습시켜 빠르게 적용한 뒤 지속적으로 성능을 높여갈 수 있다.
보안성에서도 강점을 가진다. 대형언어모델 대비 경량화 된 모델이기 때문에 기업의 전산 서버에 직접 설치하는 구축형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업의 데이터 자체가 외부로 반출되지 않기 때문에 민감한 데이터 유출을 우려하는 공공·금융·제조 등 분야의 기업에는 최고의 설루션이 될 수 있다.
기업의 상황에 따라 클라우드(Cloud) 환경에서 이용을 원하는 고객도 익시젠을 활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익시젠을 활용하는 고객을 위해 시스템 인프라와 서비스 컨설팅 등을 제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익시젠을 중심으로 AI의 손쉬운 활용과 빠른 확산을 돕는 AI 개발 플랫폼 '익시 솔루션'도 선보였다. 익시 솔루션을 활용하면 전문 개발자는 LG유플러스의 다양한 AI 엔진을 활용해 새로운 AI 서비스를 빠르게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우선 임직원 대상으로 익시 솔루션을 오픈해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해 서비스를 만들고 사용해볼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황규별 LG유플러스 최고데이터책임자는 "익시젠의 강점은 '가벼움과 속도감'으로, 이를 앞세워 익시젠을 사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며 자사 직원들은 물론 고객들의 디지털 경험을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LG유플러스는 익시젠과 익시 설루션 활용 사례를 늘려가며 AI 기술력을 고도화하고 AX(AI 전환) 혁신을 가속화하는 한편, B2B 영역으로의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코레일·아이오로라와 함께 '외국인 관광객 전용 교통패스' 출시
- LG유플러스, 금융보안원 손잡고 보이스피싱 악성앱 접속 차단 나선다
- LG유플러스, 재생에너지 공급 사업 진출한다…"탄소중립 달성 앞장"
- "버스 기다리면서 AI 써보자"…LG유플러스, 'AI 체험형 옥외광고' 선보여
- 이통3사, 갓성비폰 '갤럭시 A35' 출시…공시지원금 최대 '40만원'
- LG유플러스, 양자내성암호 적용한 가상사설망 'U+ PQC-VPN' 출시
- LG유플러스, 퀀텀코리아 참여해 통합 계정 관리 솔루션 '알파키' 공개
- LG유플러스도 '익시젠' 출시...통신3사 '생성형AI 대전' 막 올랐다
- LG유플러스, B2B 중심 AI 성장 전략 '올인 AI' 공개...AI 선도 기업 '발돋움'
- "모든 역량 AI에 총망라"…LG유플러스, B2B AX 전략 '올인 AI'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