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테크노밸리, 그 중에서도 게임산업이 밀집된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일대에 연일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수만여명의 게임업계 종사자들이 일자리를 잃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게임사들이 적지 않은 옆 동네 서울시 구로동 역시 비슷한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인공지능(AI)이 우리 삶 깊숙하게 들어온 지금, 마냥 경영진을 탓하며 안일한 생각으로 시간을 흘려보낼 수 없습니다. 게임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콘텐츠입니다. 그리고 업력보다 창의성이 더 중요한 가치로 평가되는 산업입니다.
관련기사
- 넥슨 '던파 모바일' 中 앱 스토어 월 매출 3700억원 넘었다
- [테크M 프리미엄] 엔씨표 '브롤' 배틀크러쉬...'엔또속' 아닌 '달라진 엔씨' 증명하라
- [엔씨소프트, 변화의 시작] ②닌텐도가 밀어주는 배틀크러쉬...美 콘솔시장 잡는다
- [엔씨소프트, 변화의 시작] ③배틀크러쉬 띄운 박병무 CEO, 체질개선 '속도'
- 엔씨소프트 투트랙 청신호...부활의 리니지 모바일, 린저씨 돌려세운 비결은
- [테크M 이슈] "매출 1위 넘어 톱10 안에 3종" 엔씨소프트 MMO 부활에 주목하라
- [테크M 프리미엄] 출격 앞둔 '폴더블6' 지원금에 쏠린 눈....절충형 완전자급제 논의 '급물'
- [테크M 프리미엄] 中 없이 살 수 없는 韓 게임가...모두가 '텐센트' 바라보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