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자체 인공지능(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에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생성형 AI 모델을 통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애플과 메타의 논의는 AI 시대에 주요 기술 기업들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는 파트너십을 보여준다고 분석했습니다. 메타를 비롯한 AI 개발사 들은 전세계 애플 아이폰의 사용자 기반을 활용한 대규모 배포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픈AI의 등장은 그간 한 산업군에서 경쟁자로 엮여 있던 기업들이 서로를 협력 대상으로 다시 보는 흐름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애플이 오픈AI와의 협력을 발표하면서 구글의 생성형 AI '제미나이'도 애플 인텔리전스에 탑재하길 원한다고 언급한 것이 대표적입니다.
애플은 지난 10일 '세계개발자대회(WWDC)'에서 소규모의 자체 AI를 개발했지만 복잡하고 구체적인 작업은 협력사에 맡길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픈AI를 첫 협력사로 채택했고 자사 AI 음성 비서인 '시리'에 챗GPT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애플은 오픈AI 외의 기업과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되면 고객들이 애플 내부 시스템에 적용되는 AI 모델 외에 외부 모델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습니다. 또 애플은 다양한 AI 개발사와 파트너십을 구축해 오픈AI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을 피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애플은 AI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기업들에게 상호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신 애플 협력사는 애플 인텔리전스를 통해 자사 서비스에 대한 구독료를 받을 수 있고 애플은 수익의 일부를 가져갈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이 외부 기업에 자사 플랫폼 개방 범위를 얼마나 제공할 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FreeView] "AI 아이폰만으론 부족해"…애플은 변화가 필요하다
- 베일 벗은 '애플 인텔리전스'…보안 걱정 없는 '개인형 AI' 표방
- [테크M 프리미엄] '원 모어 씽'은 없었다…'애플 인텔리전스' 공개에 실망한 이유
- [글로벌] 일론 머스크 "애플 기기 회사에서 금지할 수도"...애플-오픈AI 손잡자 '반발'
- [글로벌] 日, '빅테크 규제법' 내년 시행..."애플·구글 과점 막는다"
- [글로벌] 中 "AI폰 사전 승인 받아야"...애플, 중국 파트너 찾기 '고심'
- [글로벌] 애플, 유럽서 AI 기능 출시 보류..."빅테크 규제법 불확실"
- [글로벌] 애플, 메타와의 AI 모델 통합 파트너십 제안 거절했다
- [글로벌] 애플, EU과징금 압박에 개방..."유럽서 삼성페이 허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