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일론 머스크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애플이 자사 제품 내 오픈AI의 챗GPT를 탑재한다고 발표하자 반감을 드러냈습니다. 테슬라, 스페이스X 등 자신의 회사에서 애플 제품의 사용을 금지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머스크 CEO는 지난 10일(현지시간) X(엑스)를 통해 "애플이 OS(운영체제) 수준에서 오픈AI를 통합한다면 내 회사들에서 애플 기기는 (반입이) 금지될 것"이라며 "애플과 오픈AI의 파트너십은 용납할 수 없는 보안 위반"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방문자들은 (회사의) 문 앞에서 애플 기기를 확인받아야 하고, 이것들은 패러데이 케이지(외부의 정전기장을 차단하는 도체 상자)에 보관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애플은 이날 개최된 세계개발자회의(WWDC2024)에서 애플의 음성 비서 '시리'에 오픈AI의 챗GPT를 탑재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애플은 이를 '애플 인텔리전스'라고 명명했으며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애플은 "애플 기기 사용의 핵심에 생성 모델을 배치하면서 개인정보도 보호할 것"이라며 시리 사용자의 정보가 보안화될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머스크 CEO는 이를 반박했습니다. 그는 "애플이 자체 AI를 만들 만큼 똑똑하지도 않으면서 어떻게든 오픈AI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한다고 보장하는 것은 터무니없다"고 말했습니다. 

머스크 CEO는 그동안 오픈AI의 영리사업과 챗GPT의 정치적 편향성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왔습니다. 그는 2015년 올트먼, 브록먼 등과 함께 오픈AI를 공동으로 창업했습니다. 그러나 2018년 오픈AI 이사직을 사임하고 투자 지분을 모두 처분했습니다. 

머스크 CEO는 테슬라를 비롯해 스페이스X, 뉴럴링크, X, xAI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픈AI와의 악연에서 시작된 이번 발언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