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구성원들 앞에서 글로벌 AI 컴퍼니를 만들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한국과 미국을 쉴새없이 오가며 실리콘밸리의 AI를 직접 눈으로 확인한 그는 AI 사업전략과 본원적 경쟁력 강화 방안을 공유하며 글로벌 AI 전환을 이끌고 있다.
SKT는 유영상 대표가 25일 오전 구성원들 앞에서 타운홀 미팅을 열고 전략 방안에 대해 공유했다고 밝혔다.
유영상 대표는 "지난 3년간 AI 피라미드 전략을 구체화했고, 이제는 AI로 수익을 얻는 방법에 대해 고민할 때"라며 "AI DC를 비롯한 AI 신성장 사업 영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존 통신사 BM의 AI 전환을 완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T는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SGH)에 AI 분야 2억달러 투자를 단행한 것을 시작으로 AI, 컴퓨팅, 소프트웨어, 액침냉각 등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구성하고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그 규모와 시장을 점차적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B2B 영역에서는 AICC·에너지 솔루션·비전 AI 등 핵심 사업 영역의 SK 그룹 내 시너지 강화와 글로벌 빅테크들과의 협력 확대 등 자강과 협력의 투 트랙(Two Track) 전략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유영상 대표는 "AI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회사의 체력과 역량을 빠르게 강화할 때"라며 "본원적 경쟁력 강화(OI)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AI 컴퍼니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 체질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를 위해 ▲통신과 AI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집중 ▲통신과 AI 경쟁력 동시 강화 ▲유연하고 단단한 기업문화 조성 등을 핵심 과제를 꼽았다.
우선 포트폴리오 측면에서는 SKT 패밀리사들의 내실화와 효율화를 이루기 위해 기존 사업 및 투자를 다양한 시각에서 재검토하고, 통신과 AI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로 선택과 집중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또 고객 가치를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과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품질 강화 등 통신 본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사업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것도 당부했다.
유영상 대표는 "AI와 OI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글로벌 AI컴퍼니'와 '세계일류 수준의 통신사' 모두를 실현한다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SKMS(SK 경영관리 시스템) 정신을 바탕으로 수펙스 목표를 추구하는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기업문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단단하고 유연한 기업문화를 조성해 구성원 모두의 성장과 행복이 함께 하는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테크M 이슈] 글로벌 AI 현장 직접 뛰는 이해진·최태원…AI 동맹 속도내며 '새 시대' 연다
- AI 시대 '최태원의 복심' 낙점된 유영상…AI·반도체 투자 핵심 '키맨'으로
- 실리콘밸리에서 인재 찾는 유영상 SKT 대표…SK AI 포럼 열린다
- 유영상 SKT 대표, 글로벌 AI 심장부에서 'AI 문호 확대' 선언
- SKT, 美 AI 기업 SGH에 2800억원 투자…지분 10% 확보(상보)
- AI 데이터센터에 힘싣는 SKT…'AI 밸류체인' 3대 영역 투자에 3억달러 띄웠다
- [테크M 이슈] 실리콘밸리 종횡무진 유영상 SKT, '글로벌 AI 컴퍼니' 비전은 '진심'
- 이동통신 3사, 2분기 실적 전망은 '양호'...결국 이번에도 'AI'
- '펜싱강국 코리아' 뒤에는 20년간 300억원 후원한 SK텔레콤 있었다
- "집토끼 놓치지 말자"...장기고객 혜택 손질하는 통신3사
- SKT, 정보검색 분야 AI 기술 우수 논문상 수상
- SKT, 2분기 영업익 5375억원…전년 동기 대비 16%↑(1보)
- [SK이천포럼] 유영상 SKT 대표 "이제 돈 되는 AI 사업에 집중하겠다"
- KT·MS, 수조원 규모 5개년 파트너십 체결...한국형 AI 서비스 개발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