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024 SK이천포럼에서 SK그룹과 함께 돈이 되는 인공지능(AI) 사업에 집중해 AI로 인한 변화의 기회를 빠르게 잡아내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유 대표는 19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2024 SK이천포럼에서 환영사를 통해 AI사업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앞으로 SKT의 AI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유 대표는 "공급 측면에서 AI 산업은 아직 공급자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고, 대규모 언어 모델(LLM) 플레이이어가 돈이 많이 있는데 거의 데이터센터(IDC)에서 지불하고 있다"며 "또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 칩을 구매하는데 투자해 두 회사의 영업이익이 급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요 측면에서는 아직 AI로 제대로 돈버는 사업자가 없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AI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며 곧 다가오는 AGI 시대를 기회로 삼아 AI라는 거대한 흐름에 올라탄 자가 승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AI 밸류 체인은 AI칩과 AI인프라, AI 서비스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AI칩의 경우 이미 SK하이닉스가 HBM 필두로 승기를 잡고 있는데 앞으로 5년간 82조원 이상을 투자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며 "인프라 영역에서는 AIDC에 과감히 투자해 리딩 컴퍼니 위치에 서서 AI 데이터 센터 솔루션 사업자로 비즈니스모델(BM)을 확장할 것이다"고 말했다.
SKT는 이러한 AI 시대 흐름을 예견하고 'AI피라미드'라는 체계적인 AI 전략을 만들었다. SKT의 AI 피라미드는 ▲AI 인프라 ▲AIX ▲AI 서비스 등으로 구성됐다. 유 대표는 가장 수익화할 수 있는 영역으로 AIDC 사업을 꼽았다. 유 대표는 "오늘 당장 벌 수 있는 영역은 AIDC 산업으로 현재 규모도 커지고 수요 증가세에 맞춰 기존의 콜로케이션에서 확대해 새로운 BM으로 확장하고자 한다"며 "엣지 AI는 텔코 네트워크의 끝단에 AI GPU결합해 진화시키는 것으로서 GTAA와 엔비디아와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AIDC의 경우 현실적으로 당장 착수할 수 있는 사업이라고 판단, 더 효율적인 컴퓨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BM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글로벌 AIDC를 구축하는 경우 하면 최소 100조원 정도는 필요하다고 생각해 현실적으로 당장 할 수 있는 사업은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AIDC를 더 싸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팅 소프트웨어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돈을 버는 BM을 추진할 것이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번에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SGH)' 투자는 이를 타진하기 위한 시기적절한 투자라고 생각하며 글로벌 마켓에서 AI 데이터 센터 솔루션을 잘하면 빅테크 뿐만 아니라 GTAA의 통신사 멤버들까지 확장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유 대표는 SKT가 AI를 B2B와 B2C 영역에서 각각 어떻게 활용될 지에 대해서도 밝혔다. AI B2B의 경우 클라우드에서 AI로 넘어가는 캐즘을 못 넘은 상황이지만 모든 기업이 AI를 쓴다면 엄청난 시장이 만들어 질 것이라고 예견했다. 유 대표는 "자체 솔루션 강화와 동시에 외부 솔루션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또 엔터프라이즈 'AIX TF'를 통해 SK C&C의 딜리버리 역량을 활용하는 등 그룹 시너지를 강화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유즈케이스를 POC 단계에서 시도해 더 빠른 시간 내에 돈을 벌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말했다.
AI B2C로 돈 버는 방법으로는 구독 모델이 있는데 이는 텔코에게 굉장히 유리한 서비스라고 밝혔다. 유 대표는 "AI 서비스는 LLM과 같은 인프라 비용이 워낙 비싸기 때문에 구독 모델로 가고 있는데 이 구독은 텔코에게 굉장히 유리하다고 생각한다"며 "구독 모델이 성공하려면 우선 서비스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데 에이닷은 일상의 개인 비서로 이에 더 나아가 글로벌 AI 개인비서 서비스를 출시하고 GTAA와 연계해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SKT는 본업인 통신 영역에도 AI를 전반에 활용할 예정이다. 유 대표는 "통신 본업을 AI로 변환하는 'T-B AIX'는 그동안 분절적으로 제공된 여러 서비스를 통합해 모든 상황에서 한층 더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AI 에이전트가 고객과 연결 역할을 할 것이며 초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궁극적인 지향점인 에이닷 유니버스는 텔레콤 BM이 AI BM으로 전환을 완성한 중장기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
- [테크M 이슈] 실리콘밸리 종횡무진 유영상 SKT, '글로벌 AI 컴퍼니' 비전은 '진심'
- "통신·AI 체질개선해 골든타임 잡겠다"…구성원과 글로벌 함께 뛰는 유영상
- "이제 AI로 돈 번다"...2분기 호실적 발표한 SKT, AI 매출 확대 자신감(종합)
- 국가대표 AI반도체 기업 탄생...사피온·리벨리온 합병 본계약 체결
- "농구로 AI 코딩 배워요"...SKT, AI 로봇 농구대회 성료
- [SK이천포럼] "AI혁명, 혁신의 기회로"...AGI 선도 목소리 높인 유영상·하정우
- [SK이천포럼] 윤풍영 SK C&C 대표 "SK그룹 'DT 성숙도' 천차만별...비즈니스 연계 중요"
- [SK이천포럼] "SK와 AI는 한 몸"...이천포럼서 총망라된 AI 전략 (종합)
- SKT·람다, AI 동맹체제 구축...12월 서울에 AI데이터센터 연다
- SKT·하나금융그룹, 사회적 약자 위한 해커톤 대회 열어
- "오후 3시에 일정있어요"...AI 개인비서 진화하는 SKT '에이닷'
- 하이퍼클로바X·에이닷 진화에 이용자는 즐겁다...생활 속 깊숙히 들어오는 '생성형AI'
- "토종 AI서비스 중 '에이닷' 가장 많이 썼다"...한국인이 좋아하는 '생성형AI' 순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