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사들의 체급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지난 21일(현지시간)부터 25일까지 나흘간 독일 쾰른을 뜨겁게 달군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게임스컴)를 통해 우리는 게임한류가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유동성 종말에 따른 경기침체를 거쳐, 선진 시장의 경기 회복이 속속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게임사들이 북미-유럽에서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고 경쟁력을 증명해나가고 있습니다. 다만 대표주자로 꼽혔던 크래프톤과 펄어비스의 기업가치 흐름은 사뭇 다릅니다. 두 회사 모두 북미 유럽 시장의 기대치를 넘어서는 호응을 이끌어냈지만, 처한 현실이 조금씩 다른 탓입니다.
관련기사
- [게임스컴] 모두가 기다린 그 영상...펄어비스 '붉은사막' 게임스컴 시연 영상
- [게임스컴] 넥슨의 야심작 '퍼스트 버서커:카잔' 시연 영상 대공개
- [게임스컴] 본격적인 부스탐방...펄어비스-넥슨 그리고 크래프톤까지
- [게임스컴 24-결산] 역대 최다 출전으로 K게임 '씨앗' 뿌렸다...어워드 수상 불발에도 '웃음'
- [게임스컴 24 결산] 게임업계 '팬덤의 시대' 열렸다...'팬덤' 위한 게임 개발로 전환해야
- [게임스컴 24 결산] 서구권 게임쇼에 日-中 게임사 '수두룩'...K게임 글로벌 공략 더 속도 내자
- [게임스컴 24] 하이브IM "던전스토커즈는 더 쉬운 익스트래션...서구권-아시아 모두 잡는다"
- [테크M 리포트] 실적은 배그로, 기대감은 신작으로...퀀텀점프 노리는 크래프톤
- [테크M 프리미엄] 'AI PC' 전쟁 2막...인텔 '루나레이크'로 포문을 열다
- '출시 초읽기' 펄어비스 검은사막 중국 버전, 주가 반등 모멘텀 '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