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지국 공개…통신·AI 서비스 동시 지원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을 이동통신망에 본격 도입한다.
SK텔레콤은 오는 3월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25'에서 네트워크 AI 기술을 선보인다고 26일 밝혔다.
SK텔레콤은 AI 기지국(AI-RAN, AI 무선접속망)을 소개한다. 통신서비스와 AI 워크로드(네트워크가 처리해야 할 작업의 종류와 양)를 동시에 구현하는 방식이다.
트래픽(사용량) 과다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확보해 둔 여유 자원을 AI가 실시간 관리한다. 이 자원을 AI 추론 서비스 등 다른 작업에 할당할 수 있다. 또 기지국 자체가 에지(말단) AI 기기 역할을 한다. 일종의 온디바이스(기기 내부 처리) AI다.
SK텔레콤은 거대언어모델(LLM)을 탑재한 서버와 소형언어모델(SLM)을 탑자한 기기 중 적합한 서비스 제공처를 결정해 배분하는 'AI 라우팅'을 발표한다. AI 오케스트레이터와 AI 망 분석(NWDAF) 등도 포함했다.
SK텔레콤은 '통신 센싱 통합(ISAC)'도 보여줄 계획이다. ISAC는 전파 신호로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다. 국제 표준 기구가 6세대(6G) 이동통신 목표 서비스로 고려하는 분야다. SK텔레콤은 관람객 이동을 ISAC로 시각화해 보여줄 예정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6G 백서 등을 통해 통신과 AI가 융합하는 네트워크의 진화 방향을 제시해 온 만큼, 이번 MWC에서는 인프라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AI 유무선 인프라 관련 앞선 기술력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