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5월 휴대폰 점유율 39.3%…신규 영업 정지 탓
6월 상황 유사…7월 '위약금 면제·단통법 폐지' 변수
SK텔레콤 휴대폰 가입자 점유율 40%가 깨졌다. 지난 4월 발생한 해킹 사고 여파다. 지난 5월 기준 점유율 40% 달성에 실패했다. 5월에는 가입자식별모듈(USIM, 유심) 대란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SK텔레콤 신규 가입자 유치를 막았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 전체 휴대폰 가입자는 5723만9259명으로 전월대비 4만6180명 증가에 그쳤다.
통신사별 가입자는 ▲SK텔레콤 2249만9042명 ▲KT 1361만0780명 ▲LG유플러스 1113만1466명 ▲알뜰폰(MVNO, 이동전화재판매) 999만7971명이다.
국내 휴대폰 이용자는 사실상 포화다. 이동통신 세대 전환에 따른 요금 인상과 점유율 확대를 통해 수익을 늘리는 구조다.
5월 점유율은 ▲SK텔레콤 39.3% ▲KT 23.8% ▲LG유플러스 19.4% ▲알뜰폰 17.5%다. SK텔레콤 점유율이 사상 처음으로 40%를 하회했다. SK텔레콤은 올해 들어 3월까지 전월대비 가입자를 늘렸지만 4월 해킹 발생 이후 2개월 연속 가입자가 줄었다. 5월 SK텔레콤은 번호이동에서만 40만명 이상이 나갔다.
6월 점유율도 유사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의 신규 영업 정지는 5월5일부터 6월23일까지 진행했다. 다만 6월 번호이동에서 SK텔레콤 이탈자가 5월보다 적은 11만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점유율 39%선은 지켰을 것으로 여겨진다.
7월은 상황이 복잡하다. SK텔레콤은 지난 14일까지 서비스 해지자 위약금을 면제했다. 위약금 면제 기간 이탈자는 20만명 가량이다. 하지만 오는 22일 정부는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을 폐지한다. 지원금 상한이 없어지는 등 2014년 단통법 이전 무한 경쟁 시대가 다시 열릴 가능성이 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
- "식당 예약에 문서 작성도 척척"...오픈AI '챗GPT 에이전트' 출시에 카카오 웃는 이유는
- 김종승 엑스크립톤 대표 "원화 스테이블코인, '통제된 역외화'로 설계해야"
- [템터뷰] "탐지 넘어 예측까지...AI 시대 보안은 '위협인텔리전스'가 좌우한다"
- [테크M 이슈] "반갑다 크립토 3법" 폭주하는 이더리움, 어디까지 오를까
- [카드뉴스] 당근이 중고거래를 넘어 세상을 바꾸는 법, 10주년 그 성장 비결은?
- 류경은 교수 "디지털자산 현물 ETF 도입, 지수 신뢰성과 투자자 보호가 열쇠"
- [EWC LoL] 韓 저력 보여준 T1-젠지...나란히 4강 진출
- 트럼프, 美 사상 첫 가상자산 법률 '지니어스 법' 서명...비트코인은 숨고르기
- [글로벌] 우버, 로보택시 경쟁 본격 합류...향후 6년간 2만대 투입 예고
- [글로벌] 오픈AI, '챗GPT 에이전트' 출시...AI가 직접 식당 예약하고 PPT 만든다
- 삼성전자서비스·LG전자 "수해 지역, TV·가전 점검해드려요"